• 최종편집 2024-04-25(목)

뉴스룸

  • [건물] 서울시, 경로당·어린이집 저탄소 건물 전환
    올여름 이른 무더위와 전기요금 인상으로 여름철 냉방비 부담이 커지는 가운데, 서울시가 저탄소 건물 전환으로 기후변화 취약계층이 이용하는 공공 경로당, 어린이집의 에너지 비용 절감에 나선다. 저탄소 건물은 고성능 단열‧창호를 보강하고 고효율 냉난방시설 등을 설치한 건물로, 시는 서울지역 온실가스 배출량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건물의 에너지효율을 개선하는 동시에, 어르신, 어린이가 이용하는 공공건물의 실내환경을 더욱 쾌적하게 바꾸기 위해 힘쓰고 있다. 시는 지난 2020년부터 경로당 36개소, 어린이집 211개소를 저탄소 건물로 전환했다. 경로당은 총 145만kWh/년을 줄여 1개소당 연평균 475만원을 절약했고, 어린이집은 총 351만kWh/년을 줄여 1개소당 196만원을 절약할 수 있었다. ※ 절약금액 산출 방법 : 118원/kWh(2023년 서울시 일반용 전기단가 적용) 최근 공사를 완료한 광진구 자양2동 제2경로당은 에너지효율 3등급 건물이었으나, 내․외부 단열, 시스템 창호 설치 등 패시브 건축기술을 적용하고 고효율 냉난방기 교체, 태양광 모듈 설치로 1++등급의 제로에너지 건물로 탈바꿈했다. 건물에너지효율등급은 건물의 난방, 냉방, 급탕 등 에너지소요량과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평가하여 에너지 성능에 따라 10개 등급(1+++ ~7등급)으로 인증된다. 건물 에너지 성능 개선 후 자양2동 제2경로당의 전기사용량은 18,123kWh/년으로 개선 전 연간 사용량 56,363kWh보다 67.8%가량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기요금으로 따지면 월평균 약 38만원, 연간 451만원을 절약하는 셈이다. < 자양2동제2경로당 > 외부 내부 개선 전 개선 후 개선 전 개선 후 창호, 단열개선 냉,난방 개선 LED조명, 환기장치 신재생에너지 <개선 전‧후 효과 비교> 구 분 개선 전 개선 후 절감효과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3등급 1++등급 에너지 사용량(kWh/년) 56,363 18,123 38,240(67.8%) CO2 배출량(tCO2/년) 23.9 7.7 16.2(67.8%) ※ 규모 : 지상2층 연면적 142.75㎡ ※ 에너지 사용량 67.8% 및 전기비용 4,512천원/년 절감(118원/kwh 적용시) 시는 광진구 자양2동 제2경로당 외에도 올해 공사를 완료한 영등포구 동심경로당 또한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1++ 등급 이상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동심경로당은 내·외단열, 시스템 창호 등의 패시브 건축기술을 적용하고, 고효율 냉난방기, 태양광 모듈 등을 설치해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1++를 확보했다. 전기사용량은 개선 전 56,100kWh/년에서 개선 후 17,372kWh/년으로 69%가량 줄어 전기요금 457만원/년의 절감이 기대된다. 한편, 2001년 준공한 서대문구 우정어린이집은 그린리모델링으로 단열 보강 및 고성능 창호 교체, 고효율 냉난방, 엘이디(LED) 조명 추가 및 폐열회수환기설비 등을 적용해 에너지 성능을 24.4% 개선하였으며, 연간 290만원의 전기요금을 절약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절약금 산출방법 : 118원/kWh(2023년 서울시 일반용전기단가 적용) × 24,551kWh/년 = 290만 구분 개선 전(A) 개선 후(B) 절감효과(A-B) 서대문구우정어린이집 에너지소요량(kWh/년) 100,663 76,112 24,551(24.4%) CO2 배출량(tCO2/년) 18.4 13.6 4.8(26.1%) 이외에도 종로구 숭인어린이집은 24mm 로이이중유리 고성능 창호 및 고효율 엘이디(LED)조명 설치 등 패시브 건축기술을 적용하고, 고효율 냉방시스템 및 고효율 보일러를 설치하여 에너지소요량 19.1%를 감축했다. 이로 인해 전기요금은 연 98만원, 온실가스 배출량은 8,309kgCO2에서 6,689kgCO2로 19.5%가량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시는 연말까지 경로당 30개소, 어린이집 86개소를 저탄소 건물로 전환할 계획이며, 2026년까지 총 700여 개소(’23~’26년)의 에너지 성능 개선을 목표로 하고 있다. 투입예산은 총 1,100억 원이다. < 경로당, 어린이집 저탄소건물 전환계획 > (단위 : 개소) ~’22 ’23 ’24 ’25 ‘26 경로당 321 36 30 60 80 115 어린이집 등 628 211 86 100 100 131 「 경로당, 어린이집 저탄소건물 전환 사례 」 < 영등포구 동심경로당 > 외부 내부 개선 전 개선 후 개선 전 개선 후 창호, 단열개선 고효율 냉방시설 LED조명, 환기장치 신재생에너지 ○ 에너지 사용량 69% 절감 및 전기비용 4,570천원/년 절감(118원/kwh 적용시) 구 분 개선 전 개선 후 절감효과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4등급 1++등급 에너지 사용량(kWh/년) 56,100 17,372 38,728(69.0%) CO2 배출량(tCO2/년) 23.8 7.4 16.4(69.0%) ※ 규모 : 지상2층 연면적 142.75㎡ < 종로구 숭인어린이집 > 고효율 냉방장치 LED조명 교체 개선 전 개선 후 개선 전 개선 후 고성능 창호 교체 석면제거 개선 전 개선 후 개선 전 개선 후 ○ 에너지 사용량 19.1% 절감 및 전기비용 982천원/년 절감(118원/kwh 적용시) 구 분 개선 전 개선 후 절감효과 에너지 사용량(kWh/년) 43,625.4 35,301.7 19.1% CO2 배출량(kgCO2eq/년) 8,309.1 6,688.9 19.5% * 출처 : 서울시
    • 탄소
    • 건물
    2023-11-16
  • [해류] 대서양해류(AMOC) 붕괴 가능성 가속화
    북대서양의 해양 순환이 기후 변화의 영향으로 예상보다 빨리 붕괴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전 세계적으로 기상 패턴에 더 큰 격변을 야기할 것이라는 새로운 분석이 나왔다. 최근 코펜하겐대 연구진은 열대 지방에서 따뜻한 물을 위쪽으로 운반하는 해류 또는 "컨베이어 벨트"에 대한 최신 연구를 통해 대서양자오선역전해류(AMOC, Atlantic Meridional Overturning Circulation)이 2025년에서 2095년 사이 어느 시점에 종료될 것이며 2050년대가 가장 가능성이 높다고 네이처지에 발표했다. AMOC는 북반구의 대표적인 해류순환으로 지구 온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열대 지방과 대서양 최북단 지역 사이에서 더위, 추위, 강수량을 재분배하는 중요한 해류는 현재의 온실 가스 배출이 지속된다면 2060년경에 중단될 것이라는 것이다. Amoc의 붕괴는 북반구 전역에 뚜렷한 냉각을 일으켜 유럽과 북미 지역에서는 극한 추위와 더 건조한 여름으로 이어 지는 반면, 열은 더 남쪽으로 더 강해져 적도 인근에는 폭염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연구 결과는 최근 유엔 기후위기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이 AMOC가 금세기에 멈출 가능성이 낮다고 전망한 것과 상반된 주장이고, 양 연구에 활용된 데이터에 대한 논쟁이 있는 가운데, AMOC 중단 시기를 앞당겨 예고함으로써 온실가스 배출이 변곡점에 이르렀다는 경고로 평가된다. Gloomy climate calculation : Scientists predict a collapse of the Atlantic ocean current to happen mid-century * Source : the University of Copenhagen OCEAN CURRENTS This is the conclusion based on new calculations from the University of Copenhagen that contradict the latest report from the IPCC. These are the famed Dansgaard-Oeschger events first observed in ice cores from the Greenlandic ice sheet. At those events climate changes were extreme with 10-15 degrees changes over a decade, while present days climate change is 1.5 degrees warming over a century.
    • 기후
    2023-11-16
  • [태양광] 삼성전자, 평택산단 지붕 태양광 전력 구매
    경기도의 산업단지 RE100 사업을 통해 평택 산업단지 지붕에서 생산하는 태양광에너지를 삼성전자가 향후 20년간 구매하게 된다. 삼성전자는 민·관이 협력해 추진하는 국내 최대 규모인 45MW의 전력을 구매한다. 삼성전자의 참여로 경기도 산업단지 RE100 사업이 더욱 추진력을 얻게 됐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16일 도담소에서 이영희 삼성전자 사장, 김형민 에넬엑스코리아 대표, 김광일 한국중부발전 부사장과 ‘기업 RE100 달성을 위한 재생에너지 공급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김동연 지사는 협약식에서 “신재생에너지나 기후변화 대응에 있어서 대한민국은 거꾸로 가고 있지만, 경기도는 기후변화에 대한 적극적인 대처와 신재생에너지 생산·공급에 있어 가장 선도적으로 하겠다는 의지를 여러 차례 표명했고 실천에 옮기고 있다”며 “오늘은 산업단지 RE100의 후속조치로서 평택 산단을 활용해서 만드는 신재생에너지를 삼성전자에 공급하는 협약을 맺는 정말 뜻깊은 날”이라고 말했다. 이어 “경기 산단 RE100 사업은 1석4조의 사업이다. 산단 입주기업은 지붕을 빌려주고 임대료 수입을, 투자 기업은 태양광 투자 수익을, 삼성전자는 RE100 이행을, 그리고 경기도는 온실가스를 줄이면서 도내 기업들을 도울 수 있다”고 강조했다. 협약에 따라 에넬엑스코리아와 한국중부발전 컨소시엄은 평택 지역 다수 산단 내 부지를 발굴한 뒤 태양광 설비에 700억 원 규모를 투자해 45MW를 공급할 예정이다. 사업비 전액을 자기자본 100% 무담보로 조달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국내산 모듈을 사용하고, 지역 내 업체를 통해 자재를 조달해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이바지한다. 삼성전자는 여기서 생산되는 재생에너지를 20년간 구매하게 된다. 경기도는 행정절차 지원과 기관간 이견사항 조정, 부지발굴 지원 등을 담당한다. 경기도는 지난 4월 경기 RE100 비전을 선포하고 6월 공모를 통해 산업단지 RE100 사업을 위한 민간투자 컨소시엄 8개사를 선정, 산단지붕 등에 재생에너지를 확대해 RE100 기업이 구매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가 추진하는 산단 RE100 사업은 민간 투자를 통해 신재생에너지를 만들고, 장소 제공 기업도 임대료 등 부가 수익을 거둘 뿐 아니라 탄소 규제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삼성전자와 같은 RE100 기업은 재생에너지를 확보하게 됨으로써 수출경쟁력을 갖추는 상생 모델을 만들어나간다는 의미가 있다. 34개 국내 대기업을 포함해 전 세계 421개 글로벌 기업이 참여하고 있는 RE100(기업이 사용하는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은 가까운 미래 무역장벽으로 떠오르고 있다. RE100을 맞추지 못할 경우, 수출길이 막히거나 재생에너지 공급이 원활한 국외로 공장이 빠져나갈 수 있다는 우려까지 나오고 있다. 재생에너지 확대가 기후위기 대응의 지름길이자, 주력 산업의 경쟁력 및 일자리 확보와도 직결되는 이유다. 도는 산업단지 RE100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신속 인허가 지원, 산단 입주기업 대상 찾아가는 설명회 등으로 사업참여 효과를 적극적으로 안내할 예정이다. 16일 도담소에서 열린 경기 「기업 RE100」 달성을 위한 재생에너지 공급 협약식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 이영희 삼성전자 글로벌마케팅실장, 김형민 에넬엑스코리아 대표, 김광일 한국중부발전 부사장이 테블릿으로 서명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Business
    • 기업
    2023-11-16
  • 사회적가치연구원-탄소중립연구원, 국내기업 대상 ‘온실가스 배출량 Scope3 측정 세미나’ 성료
    구분 2001 2002 2003 123 125 128 사회적가치연구원과 탄소중립연구원이 대한상공회의소 중회의실에서 국내 ESG 실무자를 대상으로 ‘Scope3 측정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ESG 실무자를 위한 온실가스 배출량 ‘Scope3 측정 가이드북’ 발행을 기념해 진행됐다. ESG 의무공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Scope3 산정방법과 업계별 애로사항을 토론하기 위해 마련됐다. 먼저 이민 탄소중립연구원 대표가 ‘Scope3 측정 방법론’을 발표했다. 탄소배출량, 탄소회계, 구체적인 산정 가이드에 대해 다뤘다. 이민 대표는 “오늘 기후 공시의 핵심인 Scope 3에 대한 국내 첫 토론의 장이 마련된 만큼 향후 프로토콜 외 국내 업계별 애로사항에 대해 적극적인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진행된 토론에서 윤지환 SK하이닉스 TL은 ‘Scope3 측정 사례’를 발표했다. 김준호 HD한국조선해양 수석은 ‘국내 조선사 및 국내외 선급간 온실가스 Scope3 배출량 산출 표준화 사례’를 발표했다. Scope3 측정 가이드북은 △탄소회계 전반적 소개 △Scope 3 산정 가이드라인 △Scope 3 관련 공시 △감축목표 및 이행 목차 등으로 구성됐다. 김현정 사회적가치연구원 선임연구원은 “가이드북은 ESG, 지속가능 및 기후공시 의무화와 관련해 요구되는 Scope 3 배출량 정보공개에 대해 국내 기업들이 잘 대응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제시하고자 제작했다”며 “Scope3 우수기업 인터뷰를 통해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했다”고 말했다. 한편 ‘Scope3 측정 가이드북’은 11월 중 사회적가치연구원 홈페이지를 통해 무료로 배포할 예정이다. 사회적가치연구원 소개 사회적가치연구원은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더 많은 사회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시장 환경을 조성하려는 목적으로 SK가 설립한 비영리 재단법인이다. 사회적가치연구원은 사회적 가치 측정 체계를 개발하고, 사회적 가치에 기반한 인센티브(사회성과인센티브)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관련 연구를 지원하고 있다. 언론연락처: 사회적가치연구원 기획공유팀 김성은 수석연구원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탄소
    2023-10-31
  • [인증] 서울시 「친환경 도시개발 인증체계」 추진
    서울시가 기존 건물단위 평가인증제도에 이어 국내 최초로 지역단위 도시개발에 대한 친환경․저탄소 평가인증제도 도입에 나선다. 오세훈 시장은 18일(월) 15시<현지시간> 뉴욕 맨해튼의 ‘세계무역센터 단지(WTC Campus)’를 둘러보고 USGBC(미국그린빌딩협회)와 「서울시 친환경 도시개발 인증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USGBC는 LEED(친환경 평가인증체계)를 개발, 운영하는 미국의 비영리단체로, 현재 국내에서 건물단위 인증에도 널리 적용되고 있는 LEED BD+C(Building+Construction) 뿐만 아니라 지역단위 인증을 위한 LEED ND(Neighborhood Development) 체계도 구축하고 있는 세계적인 평가인증 기관이다. 그간 서울시는 도시 내 탄소배출량 저감 및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개발사업에 대해 G-SEED(녹색건축인증), ZEB(제로에너지빌딩 인증) 등의 국내 평가 인증제도를 활용해 건물 단위 중심으로 운영해왔다. 하지만 블럭이나 지역 차원의 종합적인 친환경 계획수립을 유도할 수 있는 제도는 마련되지 않아 필요한 실정이다. < LEED-ND SEOUL 추진방안 > 이에 시는 전 세계적으로 널리 공인된 LEED를 기반으로 지역개발 수준의 넓은 범위에 대한 개발사업 계획을 평가・인증 할 수 있는 제도 도입을 국내 최초로 추진할 계획이다. LEED는 1989년 개발된 이후, 2022년 현재 전 세계 190개국에 걸쳐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약 10만 개 이상의 인증사례를 가지고 있는 대표적인 친환경・저탄소 평가인증제도이다. 친환경 계획/기법 달성 정도에 따라 플래티넘(80점 이상), 골드(60점 이상), 실버(50점 이상), 일반(Certified)으로 4단계 인증 체계를 갖추고 있다. LEED 인증은 개발사업의 가치와 지속가능성을 나타내기도 하지만, 실제 에너지, 물 사용량 절감 등을 통해 운영비를 절감할 수 있고, 건물에 대한 인지도 개선 등을 통한 임대료 상승 등을 기대할 수 있어 인증사례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 국내에서도 여의도 IFC(골드), 잠실 롯데타워(골드), 서울 파이낸스센터(플래티넘) 등 278개 프로젝트가 인증을 완료했고 586개 프로젝트가 인증을 추진 중(2022년 기준)인 것으로 나타나는 등 LEED 인증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이날 오 시장은 업무, 교통, 상업, 문화시설 등 복합용도의 대단위 친환경 도심 개발사업 사례인 ‘세계무역센터 단지(WTC Campus)’를 관계자의 안내에 따라 시찰한 데 이어, USGBC(미국그린빌딩협회) 피터 템플턴 회장(Peter Templeton, CEO)과 면담을 통해 ‘서울형 지역단위 도시개발 친환경․저탄소 평가인증체계’ 개발을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WTC Campus는 부지면적 64,749.7㎡의 대규모 부지에 지상 104층 규모의 WTC1 빌딩 등 7동의 대규모 건물을 조성하며 2025년까지 35%의 온실가스 감축, 2050년까지 80%의 감축을 목표로 설정한 친환경 개발 사례이다. 특히, WTC Campus는 인접한 대중교통 역과 긴밀한 환승체계를 구축해 도심내 보행-대중교통 연계성을 강화한 사례가 돋보이며, 대중교통 허브(Transportation Hub - Oculus)의 조성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한 원활한 단지내 접근을 지원하는 한편, 상업시설 복합개발로 단지 전체의 편의기능을 함께 제공토록 조성했다. 이 자리에서 오 시장은 기존 건물 단위 평가인증을 넘어 지역 차원의 개발사업 관리 및 평가인증체계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USGBC와의 협력을 통해 서울의 특성에 적합한 지역단위 친환경․저탄소 평가인증체계(가칭, ‘LEED ND SEOUL’)를 함께 개발 및 추진해 나가는 데 뜻을 모았다. 현재 캐나다, 인도, 브라질 등에서 기존 LEED 인증제도를 국내 실정에 맞게 변형한 ‘LEED CANADA', 'LEED INDIA', 'LEED BRAZIL' 등을 개발하여 운영 중에 있으나, 도시 단위 인증체계의 개발은 서울이 처음 시도되는 것이다. 이와 함께, 시는 기존의 건물 단위 중심으로 진행되던 국내 친환경・저탄소 평가인증제도를 우선적으로 지역단위로 확장하는 한편, 장기적으로는 서울시 특성에 최적화된 자체 평가인증체계의 개발도 모색해 나갈 방침이다. 시는 최근 기후위기 상황에서 지속 가능한 친환경 도시 조성을 유도하는 지역단위 평가인증제도 도입이 도시의 탄소중립 달성과 도시의 회복탄력성 확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한편, 오 시장은 세계무역센터 단지 시찰에 앞서 이날 오전 10시<현지시간>에는 맨하튼 동측 이스트강변으로부터 저지대 지형의 도시를 보호하기 위해 조성 중인 대규모 차수시설 ‘빅 유(BIG U)’를 시찰했다. ‘빅 유(BIG U)’는 사회기반시설과 지속가능성을 두고 새로운 도시개념을 도입한다는 콘셉트로 홍수로부터 도시를 보호할 뿐 아니라 공공의 영역을 넓힌다는 목표로 구역별 단계적 계획으로 조성되고 있다. 오는 2026년까지 이스트강변의 주변공원 보호 둔덕(2.4~2.7m)을 조성해 홍수로부터 주거지역을 보호하는 한편, 새 보도교를 조성해 고립된 공원을 연결해 여가공간을 만들 계획이다. * 출처 : 서울시
    2023-09-20
  • [기상] 2023년 여름철(6~8월) 기후분석
    기상청은 ‘2023년 여름철(6~8월) 기후분석 결과’를 발표하였다. [기온] 여름철 전국 평균기온은 24.7℃로 평년(23.7℃)보다 1.0℃ 높았다(1973년 이래 4위). 한편, 여름철 석 달(6월, 7월, 8월) 모두 기온이 평년보다 높았던 해는 과거 51년 중(1973~2023년) 올해와 2018년, 2013년 세 해뿐이다. ※ 여름철(6~8월) 평균기온 순위: (1위) 2018년 25.3℃, (2위) 2013년 25.2℃,(3위) 1994년 25.1℃, (4위) 2023년 24.7℃ ○ (고온 원인) 6월하순~7월상순 북태평양고기압 가장자리를 따라 고온다습한 바람이 불어 기온을 높였고, 8월 상순에는 태풍 ‘카눈’이 동중국해상에서 북상할 때, 태풍에서 상승한 기류가 우리나라 부근으로 하강하면서 기온을 크게 높였다. ※ 관측이래 일최고기온 극값 경신 지점: (8월 3일) 울진 37.3℃(2위), 강릉 38.4℃(5위) - 특히, 장마철에는 평년에 비해 따뜻한 남풍이 강하게 불어 비가 내리는 날에도 밤사이 기온이 크게 떨어지지 않아, 여름철 평균 최저기온(21.1℃)은 가장 높았던 2013년(21.5℃)에 이어 역대 2위를 기록하였다. ○ (폭염·열대야 일수) 올 여름철 폭염일수와 열대야일수는 각각 13.9일/8.1일로 평년(10.7일/6.4일)보다 많았고, 모두 상위 12위를 기록하였다. [가장 더웠던 해(2018년)와 기온 비교] ○ 과거 51년간(1973~2023년) 여름철 가장 더웠던 해인 2018년 여름철 폭염일수/열대야일수는 31.0일(1위)/16.5일(1위)로 가장 많았으나, 올해는 13.9일(12위)/8.1일(12위)로 상대적으로 적었다. ○ 한편, 2018년 여름철에는 티베트고기압과 북태평양고기압이 우리나라를 덮어 강한 햇볕의 영향을 받아 건조한 가운데 기온 상승효과가 매우 크게 나타났고, 올해는 2018년과 같이 티베트고기압은 우리나라를 덮었지만, 북태평양고기압의 가장자리를 따라 고온다습한 바람이 자주 불어 습하면서 더운 양상을 보였다. ※ 여름철 평균 상대습도(2018년/2023년): 74%(47위)/80%(9위). * 1위: 2020년(82%) [강수량] 여름철 전국 평균 강수량은 1018.5mm로 평년(727.3mm)보다 많았다(1973년 이래 5위). ※ 여름철 강수량 순위: (1위) 2011년 1068.1mm, (2위) 1987년 1055.3mm,(3위) 2020년 1037.6mm, (4위) 1998년 1023.5mm ○ (장마철 많은 비) 장마철 전국 강수량은 660.2mm로 1973년 이래 세 번째로 많았다. 특히, 남부지방은 712.3mm의 많은 비가 내려 역대 1위를 기록하였다. - 장마철 북태평양고기압 가장자리를 따라 고온다습한 남서풍이 자주 불었고, 북쪽의 상층 기압골에서 유입된 찬 공기와 자주 충돌하면서 저기압과 정체전선이 더욱 강화되어 많은 비가 내렸다. ※ 2023년 장마철 지역별 강수량 및 순위: (중부) 594.1mm(6위), (남부) 712.3mm(1위), (제주도) 426.4mm(15위) ※ 장마철 전국 강수량 순위: (1위) 2006년 704.0mm, (2위) 2020년 701.4mm ※ 2023년/평년 장마철 기간: (중부) 6.26.~7.26./6.25.~7.26. (남부) 6.25.~7.26./6.23.~7.24., (제주도) 6.25.~7.25./6.19.~7.20. - 특히, 7월 중순에는 정체전선이 충청 이남 지역에서 장기간 남북으로 오르락내리락하면서 강하고 많은 비가 집중적으로 내렸다. ※ 관측 이래 일강수량 극값 1위 경신 지점: 군산 372.8mm(7.14.), 문경 189.8mm(7.14.) ※ 7월 13~18일 누적강수량(mm): 정산(충남 청양군) 666.0, 함라(전북 익산시) 596.5, 세종 596.4, 청주 529.5 ○ (태풍 ‘카눈’ 영향 많은 비) 여름철 북서태평양 해상에서 총 10개(평년 여름철 11개)의 태풍이 발생하였고, 이 중 제6호 태풍‘카눈’1개가 우리나라에 영향(평년 여름철 2.5개 영향)을 주어 8월 9~10일 강한 바람과 함께 많은 비가 내렸다. - 또한, 태풍 상륙 당일(8월 10일) 속초에서는 하루동안 368.7mm의 많은 비가 내려, 관측이래 일가수량 극값 1위를 기록하였다. ※ 관측 이래 일강수량 극값 1위 경신 지점: 속초 368.7mm(8.10.) ※ 8월 9~10일 누적강수량(mm): 속초 402.8, 강릉 346.9, 북창원(경남 창원시) 338.6 - 특히, 태풍 ‘카눈’은 북상 직전까지 뚜렷한 지향류가 없어 ‘Z’자형으로 이동하였고, 또한 거제 부근에 상륙한 이후에는 우리나라 동쪽에서 발달한 북태평양고기압 가장자리에서 남풍계열의 지향류 영향을 받아 태풍은 우리나라를 남북으로 종단하는 경로를 보였다. ※ 상륙 당시(8월 10일 09시 20분경) 태풍 중심 부근 관측 해면기압: 영도(부산) 981.5hPa ※ 일최대순간풍속(8월 10일): 가덕도(부산) 34.9m/s, 매물도(경남 통영시) 34.2m/s, 오륙도(부산) 33.2m/s, 계룡산(충남 계룡시) 32.6m/s, 향로봉(강원 고성군) 31.0m/s * 출처 : 기상청
    • 기후
    2023-09-15
  • [분권] ‘지방시대 비전과 전략’
    대통령 직속 지방시대위원회는 9월 14일(목) 15:30, 부산국제금융센터(BIFC)에서 시‧도지사, 시‧도 교육감, 지방시대위원, 기업인, 청년 농·어업인, 혁신도시 시민 등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지방시대 선포식’을 개최하고 ‘지방시대 비전과 전략’을 발표했다. 위원회는 ‘지방시대 비전과 전략’을 통해 ‘지방주도 균형발전, 책임있는 지방분권’의 지방시대를 열어갈 5대 전략*과 9대 정책을 내놓았다 * ➀ 자율성 키우는 과감한 지방분권, ➁ 인재를 기르는 담대한 교육개혁, ➂ 일자리 늘리는 창조적 혁신성장, ➃ 개성을 살리는 주도적 특화발전, ➄ 삶의 질 높이는 맞춤형 생활복지 ‘지방시대 비전과 전략’에서는 지방분권과 균형발전을 ‘자율, 공정, 연대, 희망’의 가치로 풀어내고자 했다. 이는 △지방이 고유의 가치를 활용하여 ‘자율’적 발전 기반을 확보하고 △국민 모두가 ‘공정’한 기회를 누리는 가운데 △중앙과 지방이, 농·어촌과 도시가 ‘연대’하여 △지방이 국가 발전을 견인하는 ‘희망’찬 지방시대를 열어가겠다는 뜻이다. 【 지방시대 9대 정책 】 지방시대위원회는 향후 5년간 중앙정부-지방정부가 함께 중점적으로 추진해 나갈 지방시대 9대 정책을 발표했다. 1) 기회발전특구 지정으로 양질의 신규 일자리 창출 2) 교육자유특구(가칭) 도입 및 지역-대학 동반 성장 3) 도심융합특구 조성으로 지방 활성화 기반 구축 4) 로컬리즘을 통한 문화‧콘텐츠 생태계 조성 5) 지방이 주도하는 첨단전략산업 중심 지방경제 성장 6) 디지털 재창조로 지방 신산업 혁신역량 강화 7) 매력있는 농어촌 조성으로 생활인구 늘리기 8) 지방 킬러규제 일괄 해소로 지역 민간투자 활성화 9) 지방분권형 국가로의 전환 진정한 지방시대를 열고 지방의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기 위해 4대 특구(기회발전특구, 교육자유특구, 도심융합특구, 문화특구)를 도입하기로 했다. 4대 특구는 모두 ‘분권형, 지방주도형’ 특구로 기획되고 운영된다. 무엇보다 기회발전특구와 교육자유특구는 ‘지방시대’를 이끌어갈 쌍두마차로서 지방에서 육성된 인재가 지역 내에서 좋은 일자리를 찾아 정착하고 지역의 성장에 기여하는 선순환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정부는 이를 위해 중앙과 지방이 합심해 가용한 모든 인적·물적 자원을 총력 지원할 방침이다. 1. 기회발전특구 지방 경제가 제대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기업의 대규모 투자와 함께 좋은 일자리가 필요하다. 지방인재의 수도권 유출을 막고 새로운 인구의 지방 유입을 촉진할 수 있기 위해선 기업이 함께 해야 한다. 그간 다양한 경제특구가 지방에서 운영되어 왔으나 실질적인 효과는 기대에 미치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중앙정부 주도의 특구 설계와 지정으로 지방의 수요가 충분히 반영되지 못해 특구를 만들어 놓아도 기업들이 입주하지 않거나, 특구에 제공되는 인센티브의 수준 또한 기대보다 낮았기 때문이다. 또한 인센티브가 초기 투자 지원에 한정돼 기업의 중장기 성장을 이끌지 못한 측면도 없지 않다. 정부는 이러한 기존 특구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기업의 지방투자 확대와 좋은 일자리 창출을 위해 발상의 틀을 뛰어넘는 과감한 지원을 제공하는 기회발전특구를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기회발전특구에는 지방정부의 주도로 수립한 특구 계획에 따라 △세제 감면, △규제 특례, △재정 지원, △정주 여건 개선 등 기존의 특구와 차별되는 10종 이상의 인센티브 제도를 도입하기로 했다. 특히 △상속세 △양도세 △소득‧법인세 △취득세 △재산세 등 기업활동 전반에 걸쳐 파격적인 세제 혜택을 주기로 했다. 또한 기업의 지방투자에 걸림돌이 되는 갖가지 규제에 대한 특례를 지방정부가 직접 기획할 수 있도록 권한을 넘겨주기로 했다. 이와 함께 △주택 특별공급 △주택양도세 특례 부여 △초·중·고 설립 지원 등을 통해 기업뿐 아니라 근로자들이 지방에서 일하기 좋은 정주 환경을 적극 마련할 방침이다. 2. 교육자유특구 지방에 거주해도 자녀 교육에 대한 걱정 없이, 지역인재가 공교육을 통해 자신의 소질과 적성을 성장시키고 한껏 발휘할 수 있도록 공교육의 내실화를 위해 중앙정부 뿐만 아니라 지방정부의 참여와 지원도 강화하기로 했다. 교육자유특구에서는 중앙정부, 지자체, 교육청, 대학, 지역 기업, 지역 공공기관 등이 협력해 지역의 공교육 혁신과 지역인재 양성 및 정주를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체제를 도입한다. 교육부는 지역 교육에 대한 지방정부의 권한과 책임을 대폭 확대해 시·도 교육청과 지방정부가 주도적으로 지역 맞춤형 교육 발전을 추진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교육자유특구 정책의 추진방향은 지역인재의 △지역 정주 생태계 조성* △공교육 경쟁력 제고 △지방분권 강화 △규제 합리화 등 지방 교육개혁을 지원하는 것이다. * 서울에 가지 않고도 양질의 교육 여건과 문화 인프라를 충분히 누릴 수 있는 환경을 중앙과 지방이 지원 교육자유특구로 지정되면 지방정부와 시・도교육청이 함께 지역맞춤형 공교육 혁신방안을 마련하여, 이를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지역교육 발전전략을 상향식으로 제안할 수 있다. 중앙정부는 이와 같은 지역의 수요를 반영해 규제를 완화하고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할 것이다. 교육자유특구 정책은 오는 9월 중 정부 시안을 발표하고 11월 공청회 개최 및 현장 의견 수렴 후 시범사업 기본계획을 발표할 계획이다. 2023년 12월에 시범사업 공모가 시작되며 2024년부터 시범운영이 실시된다. 교육자유특구의 궁극적 목표는 지역에서도 수도권 못지 않게 양질의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중앙과 지방정부가 합심해 지역의 고른 발전을 위한 인적 기반을 다진다는 데 있다. 이를 통해 지역에서 학생과 학부모들이 요구하는 맞춤형 교육을 받을 수 있고, 지역대학의 경쟁력을 회복할 수 있도록 정부와 기업이 연계하여 지원대책을 마련할 수 있게 된다. 지방에서도 수도권 못지않게 좋은 학교를 다니면서 지역인재들이 마음껏 역량을 개발하며 성장할 수 있는 기틀을 갖추게 될 것이다. 3. 도심융합특구 도심융합특구는 지방정부가 디자인하고 여러 부처가 집중 지원하는 지방시대 대표 프로젝트이다. 지방 대도시 도심에 첨단‧벤처 일자리(산업)와 삶(주거), 여가(상업‧문화)가 집약되는 복합거점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이 특구는 기존에 도시 외곽에 추진되었던 지역개발과는 달리 KTX나 지하철 역세권 등 교통이 편리한 도심지를 중심으로 지방에도 ‘판교 테크노밸리’와 같은 공간을 조성해 청년과 기업의 발길을 사로잡겠다는 전략이다. 도심융합특구에서는 도시‧건축규제를 파격적으로 완화(입지규제 최소구역)해 도심에 고밀도 복합개발을 가능토록 하고 규제자유특구 등 각종 특구를 중첩 지정해 각각의 특구가 가지는 혜택을 누리게 할 방침이다. 또한 입주기업의 창업지원 및 인재양성 교육 프로그램을 연계하는 등 부처별 기업지원 프로그램을 연계해 입주기업을 집중 지원한다. 올 하반기에 「도심융합특구 조성 및 육성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되면 선도 사업지로 선정된 5대 광역시(부산, 대구, 광주, 대전, 울산)를 중심으로 내년부터 지역별 특색을 살린 기본계획을 수립하는 등 도심융합특구 사업이 본격화된다. 우선 5개 광역시를 대상으로 선도사업을 추진하면서 성공모델을 발굴하고 육성하는 데 중점을 둘 계획이다. [ 지역위치 추진전략(예시) ] ▶ 대구 : 舊경북도청-삼성캠퍼스-경북대 일원 / 로봇 기업 및 청년인재 육성, 지원 프로그램 ▶ 광주 : 광주시청 인근 상무지구 일원 / AI, 자동차 특화산업 육성,문화시설 등 확충 ▶ 대전 : 舊충남도청, KTX대전역 일원 / 과학기술 교류 확산 플랫폼, 명품 랜드마크 구축 ▶ 부산 : 센텀2 도심첨단산단 일원 / 미래 모빌리티, 로봇, 인공지능 특화육성 ▶ 울산 : 울산KTX역-테크노파크 일원 / 친환경 에너지 산업 클러스터, 미래 모빌리티 4. 문화특구(대한민국 문화도시)와 로컬 창업‧콘텐츠 생태계 앞으로 지방에서도 ‘로컬리즘(지방다움)’을 콘텐츠‧브랜드로 육성하기 위해 지방의 관광자원과 문화를 자산으로 키워내는 지역 문화‧콘텐츠 진흥사업도 본격화된다. 올 12월에 7개 권역별로 균형발전을 선도하는 13개 ‘문화특구(대한민국 문화도시)’를 지정해 △문화 향유 프로그램 개발 △문화공간 조성 △지역문화에 기반한 문화콘텐츠 생산‧확산 △문화인력 양성 등의 사업에 3년간 도시별 최대 200억원을 지원한다. 내년에는 지방 공연예술단체와 지역 공연‧전시의 창작‧제작‧유통에 총 490억원을 투입한다. 이같은 정부의 노력은 로컬 콘텐츠 중심으로 지역문화를 활성화하고 지방 예술계의 자생력을 강화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특색있는 로컬 여행 콘텐츠를 활용한 워케이션 프로그램과 야간관광 특화도시 조성 등을 통해 지역 체류형 여행 모델도 확산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지방의 자원・문화 특성을 기반으로 혁신적 아이디어를 접목해 지역가치 창업가(로컬 크리에이터)를 발굴하고, 지역 대표기업인 로컬 브랜드 육성에 내년 총 88억원을 지원한다. 로컬 크리에이터가 주변 소상공인과 협업하고 지역의 인적・물적 자산을 연결시켜 골목상권을 넘어 골목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교육‧사업화 등을 패키지로 지원할 방침이다. 5. 지방 디지털 혁신성장 2030년까지 ‘디지털 혁신지구’를 5개 이상 조성해 수도권이 아닌 지방에도 디지털 핵심거점을 마련한다. 또한, 디지털 학과 전공자의 50% 이상을 배출하는 지방대학이 주도적 역할을 하도록 SW중심 대학을 확대(2022년 44개 → 2027년 100개)하며, 디지털 전환을 주도할 강소 SW기업을 100개 이상 육성한다. 아울러 농어촌 주민들의 디지털 활용 능력 향상을 위해 주민센터 등을 기반으로 디지털 배움터를 고도화하고, 주민 생활과 밀접한 서비스 형태의 디지털 SOC를 300개 이상 확충할 계획이다. 지방시대에는 지역의 현실을 가장 잘 아는 지방정부가 실질적 권한을 가지고 지역의 성장동력을 키우는 한편, 주민 삶의 질 개선을 위한 정책을 주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앙정부는 자치조직권과 자치계획권 등 권한을 지방에 이양하고 지방재정 운용의 자율성 강화를 위해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재원 규모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와 같은 9대 정책의 이행으로 △양질의 신규 일자리와 청년 인구가 늘어나며 △지방대학이 지역의 혁신과 인재양성의 산실이 되고 △농‧어촌과 도시가 상생 발전하는 미래상을 구현해 나갈 방침이다. * 자료 : 지방시대위원회
    • 종합
    2023-09-15
  • [실천] 서울시 에코마일리지, 기후행동 플랫폼 확대
    서울시민의 에너지 절약 문화를 확산해 온 에코마일리지가 친환경 운전 습관 들이기, 음식물쓰레기 줄이기 등 녹색 실천 분야까지 확대, 일상 속 기후행동을 견인하는 플랫폼으로 발돋움한다. ※ 에코마일리지 - 건물에서 사용하는 에너지(전기․수도․도시가스) 절약과 승용차 주행거리 감축 등 실적에 따라 연간 최대 19만원에 상당하는 마일리지가 적립되는 시민참여형 온실가스 감축 프로그램으로, - 건물의 전기, 수도, 도시가스 사용량을 전년도, 전전년도 6개월 평균과 비교하여 5% 이상 감축하거나, 승용차의 개인별 연평균 주행거리 대비 실제 주행거리 감축 시 마일리지 적립 에코마일리지는 서울시가 2009년 5월 제3차 C40 도시기후리더십그룹 시장 서울총회를 계기로 구상, 같은 해 9월 본격적으로 시행했다. 에코마일리지는 2010년에 시행된 환경부 온실가스 감축프로그램 탄소포인트의 모태가 되었으며, 2013년에는 에너지절약 문화 확산 공을 인정받아 시민참여촉진분야 UN 공공행정상을 수상했다. □ 시민 개개인의 작은 실천이 모여 큰 성과도 이뤘다. 2009년 도입 후 245만명이 에코마일리지에 가입해 서울시민 4명 중 1명꼴로 참여 중이며, 에너지 절약으로 감축한 온실가스(CO2)양은 약 226만 톤에 이른다. ○ 온실가스 누적 감축량 226만톤은 서울시 전체 면적의 약 3.5배 달하는 숲(2,100㎢)을 조성한 효과와 맞먹는다. ※ 뉴욕 센트럴파크(3.4㎢) 약 600여개 조성 효과 ○ 감축량을 금액으로 환산하면 약 7,356억원에 달해 같은 기간 인센티브(혜택) 지급 등에 투입한 예산(총 778억원)과 비교하면 투자 대비 약 9배 이상의 효과를 거뒀다. <2026년 에코마일리지 참여회원 350만명 목표, 녹색실천으로 확대 > □ 서울시는 신규회원 추천 마일리지 도입, 마일리지 실천 분야 확대, 회원가입 경로 다양화 등을 통해 현재 245만명 수준인 회원 수를 2026년까지 350만명까지 늘린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2024년 1월부터 에코마일리지에 ‘회원추천 마일리지’를 도입한다. ○ 에코마일리지 회원의 추천으로 신규회원이 가입하면, 1명당 1,000 마일리지를 추천인에게 지급하며, 연말에는 ‘가입 추천왕’을 선발해 표창할 계획이다. ○ 시는 기존 자치구 위주의 서면 회원가입 등이 한계에 도달했다고 판단, 온라인 시대에 맞춰 다양한 시민의 자발적인 참여 및 회원 확대를 위한 추천 마일리지를 도입했다. □ 둘째, 건물 에너지 절약과 승용차 주행거리 감축을 기준으로 평가해 온 실천 분야는 안전 운전과 연계한 녹색운전 실천, 음식물쓰레기 줄이기 등 녹색실천 분야로 확대한다. ○ ‘녹색운전 실천마일리지’는 올해 11월 도입 예정으로, 주행 중 과속‧급제동 등에 대한 데이터(정보)가 자동 축적되는 스마트운전평가시스템(현대기아차, 한국자동차환경협회)을 활용해 운전점수를 자동으로 평가하고 마일리지를 지급한다. ○ ‘음식물쓰레기 감축 마일리지’는 음식물류 폐기물 배출량 계량이 가능한 RFID 사용 세대(130만 세대)를 대상으로 전년 대비 음식물쓰레기 배출량을 줄인 세대에 마일리지를 지급할 예정이다. 2024년 시스템을 개발하고, 이후 본격 도입한다. ※ ’22.12. 기준 서울시 RFID사용 1.3백만세대(30%) 등록(서울시 전체 4.4백만 세대) □ 셋째, 도시가스앱을 통한 가스비 납부, 은행의 예금 또는 적금 통장에 대한 우대금리 제공 등 기업의 환경․사회․투명(ESG) 경영과 연계한 회원확충 사업도 지속해서 발굴해 나갈 계획이다. ○ 시는 지난 5월 서울도시가스를 비롯한 5개 도시가스 공급사 및 도시가스앱 개발사인 에스씨지랩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에코마일리지로 도시가스 요금을 납부할 수 있도록 했으며, 서비스 제공 후 에코마일리지 가입 회원 수는 월평균 2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 서울가스앱 업무협약(’23.5.3) 후 회원가입 증가 : 5,400명/월 → 12,000명/월 ○ 8월부터는 에코마일리지 회원이 우체국의 ‘초록별 사랑 정기예금’에 가입하면 0.3% 우대금리 혜택을 제공 중이다. 시는 연말까지 이와 같은 금리우대 혜택을 다른 금융기관으로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 에너지 절감량 유지만 해도 제공하는 지속마일리지 도입, 지급구간도 세분화 > □ 또한, 마일리지를 적립하려면 에너지 사용량을 계속해서 줄여나가야 했던 기존 제도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지속마일리지’를 도입하고 ‘마일리지 지급구간을 세분화’ 한다. ○ 지속마일리지는 2회 연속 인센티브 대상으로 선정된 후 절감률을 일정 기준 유지한 회원에게 지급하는 마일리지로, 올해 7월부터 6개월간 온실가스 감축량을 평가하여 2024년 4월부터 지급할 예정이다. ○ 현행 4개 구간인 마일리지 지급구간을 6개 구간으로 세분화하여 마일리지 적립 문턱을 낮추고, 온실가스 감축 실적에 따른 차등화한 보상을 강화할 예정이다. 2024년 7월부터 6개월간의 온실가스 감축량을 평가하고, 2025년 4월부터 세분화하여 마일리지를 지급한다. ※ 지속 마일리지 1) 0초과~3%미만 절감(지속) 요건 : 2회 연속 절감한 경우에 한함 2) 23년에는 0초과~5%미만 구간에, 24년 세분화 추진시에는 0초과~3%미만 구간에 적용하여 지급 < 온실가스 감축정보 제공 강화‧마일리지 사용처 다양화로 지속 참여 유도 > □ 올해 11월부터는 에코마일리지 누리집에 회원별 에너지 절약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률 항목 등을 추가해 앞으로 적립되는 마일리지를 예측하고 온실가스 감축 노력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한다. ○ 평가기간내(6개월) 회원 온실가스 감축률 정보 등을 누리집에 표출하여 마일리지 적립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속적인 참여를 유도한다. ○ 기존에는 전년도, 전전년도 월별 온실가스 배출량의 단순 비교만 가능했으나, 회원별 온실가스 감축량과 감축률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개선할 계획이다. □ 지방세(ETAX) 납부 등 현재 10개 항목인 마일리지 사용처는 서울사랑상품권(’23.9), 전기차 충전요금 결제(’24년) 등으로 확대한다. 사용 선택지를 넓혀 가입자의 편의성을 높이고, 환경과 지역경제를 살리는 에코마일리지 도입 취지도 살려 나갈 계획이다. ○ 현재 적립 마일리지는 지방세(ETAX)‧아파트관리비‧도시가스 요금 납부, 온누리상품권‧모바일 도서문화상품권 전환, 에너지 빈곤층을 위한 기부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에코마일리지 제도 □ 개요 ○ 개념 : 건물부문(전기, 수도, 도시가스)과 수송부문(승용차 주행거리) 에너지 절약을 통한 시민 자발적 온실가스 감축프로그램 ○ 운영기간 : ‘09. 9월부터 ~ ○ 회원자격 : 개인(건물 및 수송) 및 단체(건물) 회원으로 구분 - (개 인) 가정회원을 말하며 별도의 계량기가 있는 가구주 및 가구 구성원, 서울시 등록 12인승 이하 비사업용 승용·승합차 소유자 - (단 체) 건물, 학교, 아파트단지, 공공건물 등 사업자등록번호가 있는 단체 ○ 가입현황 : 누적 245만명 (개인 236만명, 단체 9만명) ○ 감 축 량 : 온실가스 누적 226만톤 ○ 사 용 처 : 지방세 납부(ETAX), 상품권(온누리상품권, 문화상품권), 아파트 관리비 납부, 도시가스요금 납부, 서울사랑상품권, 지정기부 등 □ 마일리지 지급 기준 ○ 건물(개인) : 전년도 및 전전년도 6개월 평균과 비교, 감축률에 따라 1~5만 마일리지 (연2회) ~2023.6.(절감율에 따른 차등지급) ➡ 2023.7∼.(지속마일리지 도입) ➡ 2024.7.∼(지급구간 세분화) 0 ~ 5% (지속) 1만 0 ~ 3% 미만 (지속) 1만 5~10% 미만 1만 5~10% 미만 1만 3 ~ 6% 미만 1만 10~15% 미만 3만 10~15% 미만 3만 6 ~ 9% 미만 2만 15% 이상 5만 15% 이상 5만 9 ~12% 미만 3만 12~15% 미만 4만 15 % 이상 5만 ○ 건물(단체) : 전년도 및 전전년도 4개월 평균과 비교, 10% 이상 감축 시 건물 규모에 따라 최대 1천만원 지급 (연2회) ○ 수송(개인) : 승용차의 개인별 연평균 주행거리 대비 실제 주행거리 감축률 또는 감축량에 따라 2~7만 마일리지 (연1회) 구 분(2항목중 유리한 것 선택) ➡ 제공혜택(2023.7~) 감축률(%) 감축량(㎞) 서울시 평균 주행거리 이하 운행 회원 대상(지속)*주행거리 감축 마일리지 미대상 차량만 해당 1만마일리지(지속) 0% 초과~10% 미만 0 초과~1,000㎞ 미만 2만 마일리지 10~20% 미만 1,000~2,000㎞ 미만 3만 마일리지 20~30% 미만 2,000~3,000㎞ 미만 5만 마일리지 30% 이상 3,000㎞ 이상 7만 마일리지 ※ 서울시 평균 주행거리는 국토교통부 통계누리 최신자료에 따름 (매년 7월말~8월초 공개) - ‘23년 9월 기준 평균 주행거리 10,183km = 27.9km(‘22년 일평균 주행거리)×365일 * 자료 : 서울시
    • 문화
    • 사회
    2023-09-15
  • [지자체] 대한민국 지방정부 ‘기후적응 선언’
    환경부는 8월 30일 오후 송도컨벤시아(인천 연수구 소재)에서 ‘대한민국 지방정부 기후적응 선언식’을 개최했다. 최근 들어 기후위기로 인해 전 세계에서 피해가 커지고 있고, 우리나라도 집중호우, 가뭄, 폭염 등 기후위기 현상이 반복되고 있다. 기후위기 피해는 적응역량, 사회기반시설 수준 등 지역의 상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지역에 맞는 적응 대책을 수립하고 적기에 이를 이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번 선언식은 기후위기 피해로부터 국민들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한 지방정부의 의지를 모으고, 지역 중심의 적응을 실천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전국의 지자체가 기후위기 적응의 실천 의지를 최초로 표명한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 대한민국 지방정부 기후적응 선언식 > ㅇ 일 시 : ‘23.8.30.(수) 15:00 ~ 16:10 ㅇ 주최/주관 : 환경부 / 기후위기 대응·에너지전환 지방정부협의회, KEI국가기후위기적응센터 ㅇ 슬로건 : 지역이 앞장서는 기후적응, Scale up Local Adaptation, Act now! ㅇ 참석자 :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장, 환경부 차관, 인천시장, 기초단체장, 지역 탄소중립지원센터장 등 「대한민국 지방정부」 기후적응 공동 실천 선언문 기후위기에 대응하고 기후재난과 피해로부터 안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대한민국의 지방정부가 선언에 참여하여, 변화하는 기후에 적응해야 하는 필요성을 명확히 인식하고, 기후적응 사회를 구축하기 위해 지역이 중심이 되어 적극 노력하고 협력할 것을 다짐하며 다음과 같이 선언한다. 하나. 우리는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시민들이 안전하고 행복한 삶과 일상을 영위할 수 있도록 앞장서 노력한다. 하나. 우리는 기후적응 정책을 우선하여 추구하며,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이행체계와 지역 기반을 구축한다. 하나. 우리는 기후적응 사회로의 전환이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새로운 기회를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한다. 하나. 우리는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가 사회에 불평등하게 나타남을 인지하고, 취약계층 보호를 위한 방안을 적극 모색한다. 하나. 우리는 중앙정부를 비롯한 이해관계자, 시민사회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지방정부 간 공동 사업 발굴 및 정보 교류를 확대한다. 하나. 우리는 지역 탄소중립 지원센터가 실효성 있는 기후적응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한다. 하나. 우리는 기후적응의 필요성을 적극 홍보하고, 시민들과 함께하는 적응정책을 마련하고 실행한다. 2023년 8월 30일 대한민국 지방정부 일동 * 출처 : 환경부
    • 탄소
    • 적응
    2023-08-31
  • [그린피스]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일본과 한국 정부 합작품
    [성명서] ‘이르면 모레부터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발표는 일본 정부의 무책임과 한국 정부의 방조가 낳은 합작품이다 글: 그린피스 일본 정부가 일본 어민단체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이르면 모레(8월 24일)부터 후쿠시마 오염수를 태평양에 방류하겠다고 발표했다. 그린피스는 돌이킬 수 없는 재앙을 초래할 수 있는 일본 정부의 무책임한 발표를 강도 높게 비판한다. 또, 방사성 오염 물질 방류가 초국경적으로 끼칠 수 있는 잠재적 피해 위험을 간과하고, 방류 저지와 관련해 국제법에 보장된 인접국의 권리를 행사하지 않은 한국 정부의 방조 행위를 엄중히 경고한다. 후쿠시마 오염수에 대한 한국 정부의 태도는 안전을 등한시한 원전 제일주의 사고를 그대로 보여준다. 원전 사고로 생성된 방사성 폐기물의 해양 방류는 지구상에 전례 없는 일로 해양생태계와 인류의 안전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일본 어민은 물론 태평양 연안 관계국 주민들의 생존권을 위협하는 행위이며, 국제해양법 위반이기도 하다. 다카다 히사요 그린피스 일본사무소 프로젝트 매니저는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지역주민, 일본 국민뿐 아니라 국제사회, 특히 태평양 연안 등 관련 국가들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해양 방류 일정을 발표한 것은 대단히 실망스럽고 개탄스럽다”며, 일본 정부의 오염수 방류 발표를 비판했다. 일본정부와 도쿄전력은 후쿠시마 원전의 폐로를 위해 오염수 방류가 꼭 필요하며, 방류 외에는 마땅한 대안이 없는 상태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는 원전 폐로 계획이 사실상 실패하고 있음을 스스로 인정한 것과 다름없다. 탱크에 저장 중인 오염수를 방류한다고 해도 원자로 안에 남겨진 뜨거운 핵연료 잔해를 식히려면 냉각수 투입을 멈출 수 없다. 지하수 유입으로 인한 오염수 증가 역시 계속될 것이다. 방류로 오염수 문제가 해결될 것처럼 주장하지만, 방류 이후에도 수십만 톤의 오염수가 추가로 발생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오염수 방류는 폐로를 위한 것이 아니라 기존 오염수의 장기 저장으로 발생하는 비용을 아끼려는 궁색한 선택일 뿐이다. 일본 정부는 인정하지 않고 있지만, 이번 세기 내 원전 폐로는 과학적으로 불가능하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의 재난은 진행형이며, 사고 수습에 앞으로도 막대한 공적자금 투입이 필요하다. 더욱이 후쿠시마 1호기 격납건물은 앞으로 또 언제 발생할지 모를 지진에 구조적으로 취약한 상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 정부는 원전 재가동에 골몰하며 방사성 폐기물의 태평양 방류를 결정했다. 이는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남긴 쓰라린 아픔과 교훈에 대한 망각과 수십 년 동안 견고한 카르텔을 구축한 일본 원전 프로그램의 산물이다. 2023년 8월 3일 기준, 후쿠시마 수조에 저장된 오염수는 1,343,227㎥에 달한다. 이미 다핵종처리설비(ALPS)를 통해 한 번 이상 처리된 오염수이다. 그러나 도쿄전력 측 설명을 따르더라도 ALPS 처리 능력의 한계로 인해 이 가운데 약 70%는 최소 한차례 이상 재처리 과정을 거쳐야 한다. ALPS의 성능이 그만큼 불확실하다는 반증이다. 과학자들은 오염수의 방류에 따른 방사능 위험 평가는 물론 오염수 방류 시 함께 방출될 삼중수소, 탄소-14, 스트론튬-90, 요오드-129의 생물학적 영향 평가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고 지적한다.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이런 사실을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도쿄전력이 검토를 요청한 범위가 아니라는 이유로 이 문제를 묵인하고, 일본의 오염수 방류 계획을 보고서를 통해 사실상 승인했다. 숀 버니 그린피스 동아시아 원자력 수석 전문위원은 “폐로를 위해서는 방류가 필수적이라는 허황된 인식이 여전하다. 그러나 후쿠시마 원전 부지에는 아직 충분한 저장 공간이 있다. 일본 정부도 이 사실은 인정한다. 문제는 오염수를 장기 저장할 경우 일본 정부의 폐로 로드맵에 결함이 있다는 사실이 드러난다는 점이다. 일본 정부는 문제를 직시해야 한다. 피하려 한다고 피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현재의 폐로계획은 과학적 신뢰성이 없다. 핵연료 잔해와 같은 근본적인 문제를 덮어놓고, 지상에 저장된 오염수 방류와 같은 대안을 제시하는 것은 미봉책도 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유엔인권이사회 이사국과 유엔 특별보고관들 또한 일본의 방류 계획을 반대하며 비판적인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일본의 오염수 방류는 깨끗하고 건강하며 지속가능한 환경에서 생활할 권리를 인간의 기본권으로 명시한 2021년 유엔인권이사회 결의안 48/13에 위배되며, 유엔해양법협약(UNCLOS)을 위반한 행위라는 것이다. 유엔해양법협약은 해양 방류가 초국경적 피해를 끼칠 수 있을 경우 포괄적인 환경영향평가를 실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숀 버니 전문위원은 이와 관련해 “일본 정부는 이러한 현실을 놓고 솔직한 토론을 벌이는 대신, 거짓 해결책을 선택했다. 전 세계 바다가 이미 엄청난 환경적 스트레스와 압박에 시달리는 상황에서 수십 년에 걸쳐 계획적으로 해양 환경을 방사성 물질로 오염시키려 하고 있다. 이는 후쿠시마를 비롯한 주변 지역, 나아가 아시아 태평양 지역 사람들의 기본적 인권을 침해하는 행위로 반드시 중단돼야 한다”고 말했다. 장마리 기후에너지 캠페이너는 “현재 한국 정부의 원전의, 원전에 의한, 원전을 위한 신화적 사고가 오염수 방류를 용인하고 원전 일색으로 에너지 정책을 수립하는 배경”이라며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의 위험성을 충분히 살펴보지 않고, 방류 중단 잠정조치와 같은 국제법적 권리도 요구하지 않은 윤석열 정부의 무대응은 시대적 심판에서 자유롭지 못할 것”이라 경고했다. 그린피스는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에 단호히 반대하며, 앞으로 후쿠시마와 ‘초르노빌’(‘체르노빌’의 우크라이나식 발음) 등 원전사고 지역에서 발생하고 있는 방사능 재난을 과학적으로 조사해 전 세계에 알리는 캠페인을 지속할 것이다. 동시에, 기후위기로 신음하는 지구와 인류를 위해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위험한 원전이 아닌 안전한 재생에너지라는 사실을 알리는 캠페인을 지속적으로 전개할 것이다. 2023년 8월 22일 그린피스
    • 기후
    2023-08-22
  • [GHG] 2022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잠정)
    환경부 소속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가 ‘2022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통계’ 확정에 앞서, 2022년 국가 온실가스 잠정배출량을 7월 31일 공개했다. <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 (’18년~’22년) > (단위 : 백만톤 CO2eq, %, 천억원) * 잠정치는 유관지표를 활용하여 추계한 수치로 향후 확정치와 차이가 있을 수 있음 2022년 국가 온실가스 잠정배출량은 6억 5,450만 톤으로 나타났다. 전년 대비 국내총생산(GDP)*이 2.6% 증가하는 상황에서도 배출량은 오히려 3.5% 감소한 것이다. * 2022년 실질 국내총생산 1,968.8조원, 2021년 실질 국내총생산 1,918.7조원(한국은행) 2022년 온실가스 잠정배출량은 배출 정점인 2018년의 7억 2,700만톤보다 10% 감소한 수치이며, 2010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온실가스 배출 효율성을 나타내는 지표인 ‘국내총생산(GDP) 당 배출량(원단위)’도 전년보다 5.9% 감소한 332톤/10억원으로 1990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부문별 배출량 변화를 살펴보면, 전환 부문에서 970만톤, 산업 부문에서 1,630만톤, 수송 부문에서 80만톤, 폐기물 부문에서 10만톤이 각각 감소했다. 건물 부문에서는 140만톤, 농축수산 부문에서는 30만톤이 각각 증가했다. 1. 전환(발전) 부문 총발전량은 전년 대비 3% 증가했으나, 원전 발전량 증가(158.0TWh → 176.1TWh),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증가(43.1TWh → 53.2TWh), 석탄 발전량 감소(198.0TWh → 193.2TWh) 등을 통해 배출량은 전년 대비 4.3% 감소한 2억 1,390만톤으로 추정됐다. 2. 산업 부문 전 세계 시장의 수요감소로 인한 철강 및 석유화학 부문 생산 감소 등의 영향으로 배출량이 전년 대비 6.2% 감소한 2억 4,580만톤으로 추정됐다. 수송 부문은 휘발유 소비량이 증가(4.2%)했으나 경유 소비량 감소(△3.6%)와 무공해차 보급 확대(67.2%) 등으로 배출량이 전년 대비 0.8% 줄어든 9,780만톤으로 추정됐다. 3. 건물 부문 서비스업 생산활동 증가와 겨울철 평균기온 하락의 영향으로 도시가스 소비량이 증가(5.3%)하면서 동 부문의 배출량이 전년 대비 3.0% 늘어난 4,830만톤으로 추정됐다. 4. 농축수산 부문 육류 소비 증가에 따른 가축 사육두수 증가(한‧육우 4.1%)를 벼 재배면적 감소(△0.7%)가 일부 상쇄하면서 배출량이 전년 대비 1.0% 늘어난 2,550만톤으로 추정됐다. 2022년에는 전년 대비 원전 발전량 증가, 산업부문 배출 감소 및 무공해차 보급 확대 등에 따라 국내총생산이 늘어났음에도 불구하고 온실가스 배출량이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 출처 : 환경부
    • 기후
    2023-08-01
  • [1.5°] 2023년 7월, 월간 사상 최고 기온 경신
    세계기상기구(WMO)는 7월 27일 유럽연합(EU) 기후변화 감시기구인 '코페르니쿠스 기후변화 서비스(Copernicus Climate Change Service, C3S)가 관측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7월 1일부터 23일까지 3주간 전세계 평균 지표면 기온이 지구 기온 관측 이래 월간 기준으로 사상 최고인 16.95°C를 기록 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3주간 온도가 평년보다 1.5도 가량 높은 수준으로 기존 최고 기록인 2019년 7월 16.63°C를 경신 했다. July 2023 is set to be the hottest month on record * Source : WMO Bonn and Geneva, 27/07/2023 (Copernicus and WMO) - According to ERA5 data from the EU-funded Copernicus Climate Change Service (C3S), the first three weeks of July have been the warmest three-week period on record and the month is on track to be the hottest July and the hottest month on record. These temperatures have been related to heatwaves in large parts of North America, Asia and Europe, which along with wildfires in countries including Canada and Greece, have had major impacts on people’s health, the environment and economies. « We don’t have to wait for the end of the month to know this. Short of a mini-Ice Age over the next days, July 2023 will shatter records across the board, » said United Nations Secretary-General António Guterres. « According to the data released today, July has already seen the hottest three-week period ever recorded; the three hottest days on record; and the highest-ever ocean temperatures for this time of year, » Mr Guterres told journalists at UN headquarters in New York. « For vast parts of North America, Asia, Africa and Europe – it is a cruel summer. For the entire planet, it is a disaster. And for scientists, it is unequivocal – humans are to blame. All this is entirely consistent with predictions and repeated warnings. The only surprise is the speed of the change, » said Mr Guterres. On July 6, the daily average global mean surface air temperature surpassed the record set in August 2016, making it the hottest day on record, with July 5 and July 7 shortly behind. The first three weeks of July have been the warmest three-week period on record. Global mean temperature temporarily exceeded the 1.5° Celsius threshold above preindustrial level during the first and third week of the month (within observational error). Since May, the global average sea surface temperature* has been well above previously observed values for the time of the year; contributing to the exceptionally warm July. It is extremely likely that July 2023 will be the hottest July and also the hottest month on record, following on from the hottest June on record. According to ERA5 data the previous hottest month on record was July 2019. Complete ERA5 data for July will be available and published by C3S in their upcoming monthly bulletin on August 8. WMO consolidates data from C3S and five other international datasets for its climate monitoring activities and its State of the Climate reports. Daily global sea surface temperature (°C) averaged over the 60°S–60°N domain plotted as time series for each year from 1 January 1979 to 23 July 2023. The years 2023 and 2016 are shown with thick lines shaded in bright red and dark red, respectively. Other years are shown with thin lines and shaded according to the decade, from blue (1970s) to brick red (2020s). Data: ERA5. Credit: C3S/ECMWF. Carlo Buontempo, Director of the Copernicus Climate Change Service (C3S) at ECMWF, comments: “Record-breaking temperatures are part of the trend of drastic increases in global temperatures. Anthropogenic emissions are ultimately the main driver of these rising temperatures”. He added “July’s record is unlikely to remain isolated this year, C3S’ seasonal forecasts indicate that over land areas temperatures are likely to be well above average, exceeding the 80th percentile of climatology for the time of year”.“The extreme weather which has affected many millions of people in July is unfortunately the harsh reality of climate change and a foretaste of the future,” said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s Secretary-General Prof. Petteri Taalas. “The need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is more urgent than ever before. Climate action is not a luxury but a must.”WMO predicts that there is a 98% likelihood that at least one of the next five years will be the warmest on record and a 66% chance of temporarily exceeding 1.5°C above the 1850-1900 average for at least one of the five years.This does not mean that we will permanently exceed the 1.5°C level specified in the Paris Agreement which refers to long-term warming over many years. Technical Information 1. Highest daily global mean surface air temperatures on record According to the ERA5 dataset, the global mean surface air temperature reached its highest daily value (17.08°C) on 6th July 2023. This value was within 0.01°C of the values recorded on 5th and 7th July. As shown in the chart above, all days since 3rd July have been hotter than the previous record of 16.80°C from 13th August 2016. Ranking of the top 30 warmest days in the ERA5 dataset based on globally averaged surface air temperature. Days in July 2023 are highlighted in bold. Data: ERA5. Credit: C3S/ECMWF. 2. Highest monthly global mean surface air temperature on record According to the ERA5 dataset, the global mean surface air temperature averaged for the first 23 days of July 2023 was 16.95°C. This is well above the 16.63°C recorded for the full month of July 2019, which is currently the warmest July and warmest month on record. At this stage, it is virtually certain that the full monthly average temperature for July 2023 will exceed that of July 2019 by a significant margin, making July 2023 the warmest July and warmest month on record. Globally averaged surface air temperature for the first 23 days of July for all months of July from 1940 to 2023. Twenty-three days represent the number of days in July 2023 for which ERA5 data are available as of writing of this document. Data: ERA5. Credit: C3S/ECMWF. 3. Well above-average global sea surface temperatures Daily sea surface temperatures (SSTs) averaged over the global extrapolar oceans (60°S–60°N) have stayed at record values for the time of year since April 2023. Most notably, since about mid-May, global SSTs have risen to unprecedented levels for the time of year. According to ERA5 data, on 19th July, the daily SST value reached 20.94°C, only 0.01°C shy of the highest value recorded for 29th March 2016 (20.95°C). Daily global sea surface temperature (°C) averaged over the 60°S–60°N domain plotted as time series for each year from 1 January 1979 to 23 July 2023. The years 2023 and 2016 are shown with thick lines shaded in bright red and dark red, respectively. Other years are shown with thin lines and shaded according to the decade, from blue (1970s) to brick red (2020s). Data: ERA5. Credit: C3S/ECMWF. 4. New national temperature records National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services have reported a number of daily and station temperature records and are responsible for verifying any new national temperature records. Thus, China set a new national temperature record of 52.2°C on 16 July (Turpan city in China's Xinjiang province), according to the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WMO’s provisional State of the Global Climate 2023 report, which will be presented to COP28 in December, will incorporate details of new national temperature records. The temperature record for continental Europe of 48.8°C (119.8°F) measured in Sicily on 11 August 2021 was not broken during the July heatwaves, according to provisional information. Temperature records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re maintained by the U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s National Centers for Environmental Information. C3S, implemented by the European Centre for Medium-Range Weather Forecasts (ECMWF) on behalf of the European Commission, routinely monitors climate and has also been closely following recent development of global air and sea surface temperatures.
    • 기후
    2023-07-29
  • [UN] 유엔사무총장, ‘지구 열대화 시대’ 도래
    UN사무총장 안토니우 구테흐스는 7월 27일 기자회견을 갖고 이제 지구 온난화(Global Warming) 시대가 끝나고 지구 열대화(Global Boiling) 시대가 되었다고 선언하며 당장 기후 대응에 나설것을 호소했다. WMO는 27일 금년 7월이 인류 역사상 가장 더운 달로 기록되었다고 발표했다. 지구 온난화 시대는 끝났다. 지구 열대화 시대가 왔다. 대기 상태는 숨쉬기 어려우며, 더위는 견디기 힘들 정도이다. 화석 연료 산업의 이익과 기후 무대응은 용납할 수 없는 상황이다. 리더들이 앞장서야 한다. 더 이상 주저하지 마세요. 더 이상 변명할 필요가 없다. 더 이상 다른 사람이 먼저 움직이기를 기다리지 마세요. 더 이상 그럴 시간이 없다. -------------------------------------------------------------------------------------------------------------------------------------- Press Conference by Secretary-General António Guterres at United Nations Headquarters Following is the transcript of UN Secretary-General António Guterres’ press conference on climate and the situation in Niger, in New York today: Secretary-General : A very good morning. Humanity is in the hotseat. Today, the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WMO) and the European Commission’s Copernicus Climate Change Service are releasing official data that confirms that July is set to be the hottest month ever recorded in human history. We don’t have to wait for the end of the month to know this. Short of a mini-Ice Age over the next days, July will shatter records across the board. According to the data released today, July has already seen the hottest three-week period ever recorded; the three hottest days on record; and the highest-ever ocean temperatures for this time of year. The consequences are clear and they are tragic: children swept away by monsoon rains; families running from the flames; workers collapsing in scorching heat. For vast parts of North America, Asia, Africa and Europe, it is a cruel summer. For the entire planet, it is a disaster. And for scientists, it is unequivocal — humans are to blame. All this is entirely consistent with predictions and repeated warnings. The only surprise is the speed of the change. Climate change is here. It is terrifying. And it is just the beginning. The era of global warming has ended ; the era of global boiling has arrived. The air is unbreathable. The heat is unbearable. And the level of fossil-fuel profits and climate inaction is unacceptable. Leaders must lead. No more hesitancy. No more excuses. No more waiting for others to move first. There is simply no more time for that. It is still possible to limit global temperature rise to 1.5°C and avoid the very worst of climate change. But, only with dramatic, immediate climate action. We have seen some progress. A robust rollout of renewables. Some positive steps from sectors, such as shipping. But, none of this is going far enough or fast enough. Accelerating temperatures demand accelerated action. We have several critical opportunities ahead. The Africa Climate Summit. The G20 [Group of 20] Summit. The UN Climate Ambition Summit. COP28 [twenty-eighth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But leaders — and particularly G20 countries responsible for 80 per cent of global emissions — must step up for climate action and climate justice. What does that mean in practice? First, emissions. We need ambitious new national emissions reduction targets from G20 members. And we need all countries to take action in line with my Climate Solidarity Pact and Acceleration Agenda: Hitting fast-forward so that developed countries commit to reach net-zero emissions as close as possible to 2040, and emerging economies as close as possible to 2050, with support from developed countries to do so. And all actors must come together to accelerate a just and equitable transition from fossil fuels to renewables — as we stop oil and gas expansion, and funding and licensing for new coal, oil and gas. Credible plans must also be presented to exit coal by 2030 for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countries and 2040 for the rest of the world. Ambitious renewable energy goals must be in line with the 1.5°C limit. And we must reach net-zero electricity by 2035 in developed countries and 2040 elsewhere, as we work to bring affordable electricity to everyone on earth. We also need action from leaders beyond Governments. I urge companies, as well as cities, regions and financial institutions, to come to the Climate Ambition Summit with credible transition plans that are fully aligned with the United Nations’ net zero standard, presented by our High-Level Expert Group. Financial institutions must end their fossil fuel lending, underwriting and investments and shift to renewables instead. And fossil fuel companies must chart their move towards clean energy, with detailed transition plans across the entire value chain: No more greenwashing. No more deception. And no more abusive distortion of anti-trust laws to sabotage net zero alliances. Second, adaptation. Extreme weather is becoming the new normal. All countries must respond and protect their people from the searing heat, fatal floods, storms, droughts and raging fires that result. Those countries on the front lines — who have done the least to cause the crisis and have the least resources to deal with it — must have the support they need to do so. It is time for a global surge in adaptation investment to save millions of lives from climate [carnage.] That requires unprecedented coordination around the priorities and plans of vulnerable developing countries. Developed countries must present a clear and credible roadmap to double adaptation finance by 2025 as a first step towards devoting at least half of all climate finance to adaptation. Every person on earth must be covered by an early warning system by 2027 — by implementing the Action Plan we launched last year. And countries should consider a set of global goals to mobilize international action and support on adaptation. That leads to the third area for accelerated action — finance. Promises made on international climate finance must be promises kept. Developed countries must honour their commitments to provide $100 billion a year to developing countries for climate support and fully replenish the Green Climate Fund. I am concerned that only two G7 [Group of Seven] countries — Canada and Germany — have made until now replenishment pledges. Countries must also operationalize the loss and damage fund at COP28 this year. No more delays; no more excuses. More broadly, many banks, investors and other financial actors continue to reward polluters and incentivize wrecking the planet. We need a course correction in the global financial system so that it supports accelerated climate action. That includes putting a price on carbon and pushing the multilateral development banks to overhaul their business models and approaches to risk. We need the multilateral development banks leveraging their funds to mobilize much more private finance at reasonable cost to developing countries — and scaling up their funding to renewables, adaptation and loss and damage. In all these areas, we need Governments, civil society, business and others working in partnership to deliver. I look forward to welcoming first-movers and doers on the Acceleration Agenda to New York for the Climate Ambition Summit in September. And to hearing how leaders will respond to the facts before us. This is the price of entry. The evidence is everywhere: humanity has unleashed destruction. This must not inspire despair, but action. We can still stop the worst. But to do so we must turn a year of burning heat into a year of burning ambition. And accelerate climate action – now. * Source : United Nations
    • 기후
    2023-07-29
  • [인구] 2022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
    2022년 인구주택총조사 집계결과 (요약) [인구] (단위 : 천 명(가구, 호), %, %p, 여자 100명당, 명) 2022년11월1일 기준 총인구 5,169만명, 전년 대비 0.1% (-5만명) 감소 ○ (내․외국인) 2022년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내국인은 4,994만명(96.6%), 전년 대비 0.3%(-14.8만명) 감소, 외국인은 175만명(3.4%), 전년 대비 6.2%(10.2만명) 증가 ○ (연령) 15~64세 생산연령인구 71.0%(3,669만명), 65세 이상 고령인구 17.7%(915만명), 0~14세 유소년인구 11.3%(586만명)를 차지 - 전년 대비 유소년인구(-23만명, -3.7%) 및 생산연령인구(-26만명, -0.7%)는 감소한 반면, 고령인구(44만명, 5.1%)는 증가 - 2017년 대비 생산연령인구 비율 2.1%p 감소(-88만명) ○ (노령화지수) 유소년인구 100명당 고령인구는 156.1로 전년 대비 13.1 증가 - 전남 225.9 최고, 세종 53.3 최저 ○ (지역) 인천,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제주를 제외한 10개 시도 인구 감소 - 전년 대비 4대 권역 중 수도권(0.2%), 중부권(0.5%) 인구 증가 - 전년 대비 전국 155개 시군구 인구 감소 [가구] 2022년 총 가구는 2,238만가구, 전년 대비 1.6% (36만가구) 증가 ○ (가구유형) 일반가구는 총가구의 97.3%(2,177만가구), 기타가구(외국인가구 및 집단가구)는 2.7%(61만가구) - 전년 대비 일반가구(33만가구, 1.5%), 기타가구(4만가구, 6.2%) 모두 증가 - 일반가구의 가구유형 비율은 친족가구 63.2%, 비친족가구 2.4%, 1인가구 34.5% ○ (가구원수) 전년 대비 3인 이하 가구 증가, 4인이상 가구 감소 - 1인가구 4.7%(34만 가구), 2인가구 3.0%(18만 가구) 증가, 4인이상 가구 5.2%(-21만 가구) 감소 - 평균 가구원수는 2.25명, 전년 대비 0.04명 감소, 5년전 대비 0.23명 감소 ○ (거처) 아파트에 거주하는 가구는 전체의 52.4%로 전년 대비 0.4%p 증가 - 아파트 거주 가구 비율이 가장 높은 시도는 세종(77.5%), 가장 낮은 시도는 제주(25.6%) [주택] 2022년 총 주택은 1,916만호, 전년 대비 1.8% (34만 호) 증가 ○(주택종류) 단독주택은 386만호로 전년 대비 0.3%(-1만호) 감소, 공동주택은 1,508만호로 전년 대비 2.4%(36만호) 증가 -아파트는 1,227만호로 총 주택의 64.0%, 전년 대비 2.7%(32만호) 증가 ○(지역) 시도별 전년 대비 주택 증감률은 세종(4.5%)이 가장 높고, 경북(0.4%)이 가장 낮음 -아파트 비율이 가장 높은 시도는 세종(86.9%), 가장 낮은 시도는 제주(31.7%), 단독주택 비율이 가장 높은 시도는 전남(48.6%), 가장 낮은 시도는 인천(8.6%)임 ○(노후기간) 20년 이상 된 주택은 총 주택의 52.2%, 30년 이상 된 주택은 23.5% -단독주택의 54.2%(209만호), 아파트의 14.1%(173만호)는 노후기간이 30년 이상 된 주택 -시도별 노후기간이 30년 이상 된 주택 비율은 전남(38.9%), 경북(33.1%), 전북(31.8%) 순으로 높으며, 세종(7.1%)이 가장 낮음 ○(단독주택 평균 거주가구수) 단독주택에 거주하는 평균 가구수는 1.9가구로, 일반단독 1.0가구, 다가구단독 3.9가구, 영업겸용단독 2.8가구임 [1인가구] 1인가구는 750만가구 (34.5%), 전년 대비 4.7% 증가 ○ (증감률) 1인가구 증가 추세 : 5.1%2019년→8.1%2020년→7.9%2021년→4.7%2022년 ○ (연령) 연령대별로 보면 20대이하(19.2%), 30대(17.3%), 60대(16.7%) 순이며, 남자는 30대(22.0%), 여자는 20대이하(18.9%) 비율이 높음 ○ (지역) 시도별 1인가구 비율은 대전(38.5%)이 가장 높고, 울산․경기(30.2%)가 가장 낮음 [고령자] 고령인구는 905만명, 전년 대비 4.9%(43만 명) 증가 ○ (지역) 65세 이상 고령인구의 비율은 면 지역이 34.2%로 가장 높고, 동 지역의 고령자 비율(16.3%)보다 2.1배 높음 [다문화가구] 다문화가구는 39.9만가구, 전년 대비 3.7% (1.4만가구) 증가 ○ (다문화가구) 39.9만 가구(귀화자가구 42.8%, 결혼이민자가구 37.2%, 다문화자녀가구 11.1%, 기타 8.9%) ○ (다문화대상자 국적) 중국(한국계) 32.3%, 베트남 21.8%, 중국 19.0% 순으로 높음 * 출처 : 통계청
    • 종합
    2023-07-28
  • [소부장] 5개 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 신규 지정
    2021년 2월 5개 분야 소부장 특화단지를 최초 지정한 이후 2년 6개월 만에 5개 특화단지가 추가 지정된다. 7.20일 개최된 「소재부품장비 경쟁력강화위원회」(위원장 기획재정부장관, 부위원장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에서 미래차, 바이오 등 신산업 분야로 지정대상을 확대하고 미래차광주, 미래차대구, 바이오충북 오송, 반도체부산, 반도체경기 안성 등 5개 특화단지를 추가 지정하기로 하였다. 금번 특화단지 조성에 약 6.7조원의 기업 신규투자가 이뤄질 예정이다. < 신규 5개 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 > 분야 바이오 미래차 반도체 지역 충북오송 광주 대구 부산 경기안성 특화분야 바이오 원부자재 자율주행차 부품 전기차 모터 전력반도체 반도체장비 백신 제조용바이오원자재 생산특화단지 인지센서 등자율주행핵심 부품생태계 조성 희토류 영구자석 등전기차 모터공급망 구축 전기차 등 수요에 따른차세대 전력반도체생태계 구축 반도체핵심 공정 관련장비 공급망 강화 투자 1조 6,000억원 1조 9,000억원 1조 5,000억원 8,000억원 9,000억원 주요기업 LG화학,대웅제약 LG이노텍,기아, GGM 성림첨단산업경창산업 SK파워텍 케이씨텍,미코세라믹스 협력기업 약 70개社 약 70개社 약 60개社 약 20개社 약 40개社 1. 개 요 □ (추진배경) 現 5개* 소부장 특화단지(’21.2)를 ①미래차·바이오 등 신규분야로 확대, ②반도체 등 旣지정 분야의 공급망 강화를 위해 추가지정 * ①반도체 : 경기용인(SK하이닉스), ②이차전지 : 충북청주(LG엔솔) ③디스플레이 : 충남 천안아산(삼성D), ④탄소소재 : 전북전주(효성첨단), ⑤정밀기계 : 경남창원(DN솔루션즈) □ (추진경과) 5개 분야 소부장 특화단지 최초지정(‘21.2.23) → 신규 소부장특화단지 공모(‘23.3~4) → 신규 소부장 특화단지 평가 및 후보선정(~’23.7) 2. 신규 특화단지 조성 목표 ◇ 특화단지 신규지정을 통해 ➊미래차·바이오 공급망 생태계를 조성하고, ➋반도체 생태계 취약점인 전력반도체, 반도체장비 공급망 강화 (1) 충북(바이오) – 바이오의약품 제조용 원부자재 자립화 추진 * (바이오의약품) mRNA 백신처럼 생물체 기반 원료로 제조되는 의약품으로서 합성의약품에 비해 많은 개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며 높은 가격대를 형성 ㅇ (목표) 배양→정제→완제 등 바이오의약품 제조공정 전반에 활용되는 필수 바이오 원부자재 공급망 구축 추진 ㅇ (현황) LG화학, 대웅제약, GC녹십자 등 주요 수요기업과 바이오원부자재 관련 약 70개 소부장 기업 위치(약 1.6조원 투자예정) (2) 광주(미래차) - 자율주행차 관련 부품 생태계 조성 ㅇ (목표) 자율주행차의 핵심 기능과 관련된 ①인지센서, ②제어부품, ③통신 시스템 관련된 밸류체인 집적화 추진 ㅇ (현황) 기아차GGM 등 완성차 기업과 함께 LG이노텍, 현대모비스 등 주요 미래차 부품사와 약 70개 소부장 기업이 집적(약 1.9조원 투자예정) (3) 대구(미래차) - 완결된 전기차 모터 부품 생태계 구축 ㅇ (목표) 핵심소재부터 전기차 모터의 기능단위인 구동모듈까지 영구자석→구동모터→구동모듈의 완결된 공급망 구축 ㅇ (현황) 경창산업, 보그워너 등 전기차 모터 생산기업과 함께 성림첨단(영구자석) 등 약 60개 소부장 기업 집적(약 1.5조원 투자예정) (4) 부산(반도체) - 고성능 화합물 전력반도체* 생태계 조성 * 웨이퍼 소재로 실리콘 대신 SiC, GaN 등 화합물을 사용하여 고전압, 고주파에 유리 ㅇ (목표) 전기차 전력변환장치의 핵심소재가 실리콘(Si) 기반에서 화합물(SiC, GaN) 기반으로 전환 중임을 감안 국내 생태계 조성 추진 ㅇ (현황) SK파워텍 등 전력반도체 소자기업의 신규 투자가 확대 중이며, 제엠제코 등 약 20개 소부장 기업 집적(약 8천억원 투자예정) (5) 경기 안성(반도체) - 연마 등 반도체 장비 공급망 자립 강화 ㅇ (목표) 연마*, 세정 공정 관련 기업을 다수 집적하여 소재(슬러리, 세라믹)→부품(유량흐름 제어 등)→장비 등 공급망생태계 구축 * 연마(CMP,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 화학 및 기계적 반응을 통해 후속 공정이 평평한 표면에서 시작되도록 웨이퍼를 평탄화하는 공정으로 회로 정밀도에 높은 영향 ㅇ (현황) 케이씨텍, 미코세라믹스 등 주요 반도체 장비기업과 함께 코미코 등 약 40개 소부장 협력기업 입주 계획(약 9천억원 투자예정) * CMP 공정 관련 기술은 미국(약 60% 점유), 일본(약 25% 점유), 한국 등 3개국이 기술 보유, 국내기업의 글로벌 점유율은 약 5%(케이씨텍은 국내 유일의 기술 보유) 미래차 분야 특화단지는 자율주행, 전기차 등 미래차 전환에 따라 높은 수요가 발생될 것으로 기대되는 핵심부품들의 자립화, 내재화(전기차 모터 자립률 50%→90% 등)를 추진하고, 바이오 분야 특화단지는 코로나19 이후 바이오의약품 글로벌시장이 크게 성장함에 따라 백신 등 의약품 제조공정(배양→정제→완제)에 필수적인 원부자재 자립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반도체 특화단지는 반도체 장비, 전력반도체 등 국내 반도체 생태계 강화를 추진한다. 정부는 특화단지 생태계 조성을 위해 수요-공급기업 간 공동 연구개발(R&D), 테스트베드, 사업화 등 기술자립과 국내복귀 기업지원, 지방투자 등 단지 내 기업유치를 지원하고, 특화단지별 추진단을 구성하여 규제개선과 기업 건의사항 등을 원스톱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아울러, 정부는 오늘 발표한 7개 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와 5개 신규 소부장 특화단지가 국내 소부장 생태계 조성과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상호보완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운영할 계획이다. *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 종합
    2023-07-21

기후
더보기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