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5-21(화)

통합검색

검색형태 :
기간 :
직접입력 :
~

World 검색결과

  • [IT] MS 2024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Report
    Accelerating innovation and partnership for people and the planet Four years ago, Microsoft committed that, by 2030, we would become carbon negative, water positive, zero waste, and protect more land than we use. Since that announcement, we have seen major changes both in the technology sector and in our understanding of what it will take to meet our climate goals. New technologies, including generative AI, hold promise for new innovations that can help address the climate crisis. At the same time, the infrastructure and electricity needed for these technologies create new challenges for meeting sustainability commitments across the tech sector. As we take stock as a company in 2024, we remain resolute in our commitment to meet our climate goals and to empower others with the technology needed to build a more sustainable future. At the end of last year, the world met in Dubai at COP28 to assess global sustainability progress. The results were sobering. The world is not on track to meet critical climate goals, and we see many of the world’s challenges reflected in our own situation. During the past four years, we have overcome multiple bottlenecks and have accelerated progress in meaningful ways. As we report here, we are on track in several areas. But not in every area. We therefore are mobilizing to accelerate progress in areas where we’re not yet on track. In four areas we are on track, and in each of these we see progress that has the potential to have global impact beyond our own sustainability work. These are: - Reducing our direct operational emissions (Scope 1 and 2) - Accelerating carbon removal - Designing for circularity to minimize waste and reusing cloud hardware - Improving biodiversity and protecting more land than we use At the same time, there are two areas where we’re not yet on track, and in each of these we are intensively engaged in work to identify and pursue additional breakthroughs. These are: - Reducing our Scope 3, or indirect, emissions - Reducing water use and replenishing more water than we consume in our datacenter operations Even amid the challenges, we remain optimistic. We’re encouraged by ongoing progress across our campuses and datacenters, and throughout our value chain. Even more, we’re inspired by the scores of executives and employees across Microsoft who are rolling up their sleeves and identifying new and innovative steps that are helping us to close critical gaps. We all recognize the same thing: There is no issue today that connects everyone on the planet more than the issues around climate change. We all need to succeed together. Carbon negative Our carbon negative commitment includes three primary areas: reducing carbon emissions; increasing use of carbon-free electricity; and carbon removal. We made meaningful progress on carbon-free electricity and carbon removal in FY23. Microsoft has taken a first-mover approach to supporting carbon-free electricity infrastructure, making long-term investments to bring more carbon-free electricity onto the grids where we operate. In 2023, we increased our contracted portfolio of renewable energy assets to more than 19.8 gigawatts (GW), including projects in 21 countries. In FY23, we also contracted 5,015,019 metric tons of carbon removal to be retired over the next 15 years. We are continuing to build a portfolio of projects, balanced across low, medium, and high durability solutions. Carbon reduction continues to be an area of focus, especially as we work to address Scope 3 emissions. In 2023, we saw our Scope 1 and 2 emissions decrease by 6.3% from our 2020 baseline. This area remains on track to meet our goals. But our indirect emissions (Scope 3) increased by 30.9%. In aggregate, across all Scopes 1–3, Microsoft’s emissions are up 29.1% from the 2020 baseline. The rise in our Scope 3 emissions primarily comes from the construction of more datacenters and the associated embodied carbon in building materials, as well as hardware components such as semiconductors, servers, and racks. Our challenges are in part unique to our position as a leading cloud supplier that is expanding its datacenters. But, even more, we reflect the challenges the world must overcome to develop and use greener concrete, steel, fuels, and chips. These are the biggest drivers of our Scope 3 challenges. We have launched a company-wide initiative to identify and develop the added measures we’ll need to reduce our Scope 3 emissions. Leaders in every area of the company have stepped up to sponsor and drive this work. This led to the development of more than 80 discrete and significant measures that will help us reduce these emissions – including a new requirement for select scale, high-volume suppliers to use 100% carbon-free electricity for Microsoft delivered goods and services by 2030. As a whole, this work builds on our multi-prong strategy, this year focusing on the following: 1. Improving measurement by harnessing the power of digital technology to garner better insight and action 2. Increasing efficiency by applying datacenter innovations that improve efficiency as quickly as possible 3. Forging partnerships to accelerate technology breakthroughs through our investments and AI capabilities, including for greener steel, concrete, and fuels 4. Building markets by using our purchasing power to accelerate market demand for these types of breakthroughs 5. Advocating for public policy changes that will accelerate climate advances Water positive We take a holistic approach to becoming water positive, which includes water access, replenishment, innovation, reduction, and policy. In 2023, we achieved our water access target by providing more than 1.5 million people with access to clean water and sanitation solutions. We contracted water replenishment projects estimated to provide more than 25 million m3 in volumetric water benefit over the lifetime of these projects – enough water to fill about 10,000 Olympic-sized swimming pools. Finally, we continue to drive innovation in water, through first-of-their kind replenishment projects like FIDO, which leverages AI-enabled acoustic analysis to reduce water loss from leakage. Looking ahead, as our datacenter business continues to grow, so does the need to minimize our water consumption and replenish more than we consume in these operations. In FY23, our progress on water accelerated, and we know we need to implement an even stronger plan to accelerate it further. We therefore are investing in our water positive commitment in four ways: 1. We are taking action to reduce the intensity with which we withdraw resources by continuing to design and innovate in order to minimize water use and achieve our intensity target 2. Our new datacenters are designed and optimized to support AI workloads and will consume zero water for cooling. This initiative aims to further reduce our global reliance on freshwater resources as AI compute demands increase 3. We are partnering to advance water policy. In 2023, we joined the Coalition for Water Recycling. Over the coming year we will finalize a position and strategy for water policy 4. We are developing innovative scalable replenishment projects in high water stress locations where we operate datacenters. We recently announced Water United, a new initiative to unite public and private sectors in reducing water loss from leakage across the Colorado River Basin Zero waste Our journey to zero waste includes reducing waste at our campuses and datacenters, advancing circular cloud hardware and packaging, and improving device and packaging circularity. In FY23, we achieved a reuse and recycle rate of 89.4% for servers and components across all cloud hardware, a target that is increasingly important as needs for cloud services continue to grow. In 2023, we also diverted more than 18,537 metric tons of waste from landfills or incinerators across our owned datacenters and campuses, and we reduced single-use plastics in our Microsoft product packaging to 2.7%. From expanding our Circular Centers to piloting programs that give a second life to used fiber optic cables through partnerships with local technical schools, we are working to keep materials in use longer and approach our work at every stage with circularity in mind. We are accelerating our work to reuse and recycle cloud hardware wherever possible, and launched two new Circular Centers in Quincy, Washington, and Chicago, Illinois in 2023. Protecting ecosystems We have committed to protecting more land than we use by 2025, while preserving and restoring ecosystems in the areas where we live and work. As of FY23, we exceeded our land protection target by more than 40%. At this point, 15,849 acres of land have been legally designated as permanently protected compared to our goal of 11,000 acres. We are incorporating green business practices that support the surrounding ecosystems near our campuses and datacenters. This includes regenerative design solutions around our datacenters that enhance local biodiversity, improved stormwater management, and contributing to climate resilience. We are also piloting AI-driven Microsoft technology to provide insights into the overall health of the ecosystem and inform future actions. Customer and global sustainability In last year’s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Report, we announced that we were expanding our ambition to help advance sustainability for our customers and the world. In 2023, we continued this work to empower our customers and partners on their own sustainability journey by creating the technology needed to better manage resources and optimize systems. On a global scale, we focused on accelerating innovation, research, and policy, not only for ourselves but also to support a more sustainable world for all. The shift from pledges to progress requires action,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Microsoft Cloud for Sustainability is helping customers unify data and garner richer insights into the sustainability of their business. In 2023, we expanded Microsoft Sustainability Manager to include Scopes 1, 2, and all 15 categories of Scope 3 carbon emissions to help track progress and inform action across an organization’s operations and value chains. As the world experiences worsening impacts of climate change, we are also helping to put planetary data into the hands of researchers, governments, companies, and individuals through the Planetary Computer. We are providing open access to petabytes of environmental monitoring data to help empower people with actionable information to protect their communities. Microsoft’s sustainability progress requires global engagement. We are investing in innovative solutions, advancing research, and advocating for policies that we believe can drive progress at scale. A hallmark of this effort has been our Climate Innovation Fund (CIF) – our $1 billion commitment set in 2020 to advance innovation beyond Microsoft’s four walls. To date, the CIF has allocated $761 million toward innovative climate technologies including commercial direct air-capture technologies, sustainable aviation fuel (SAF), industrial decarbonization, and more. Our science, research, and AI for Good teams are also working to accelerate solutions and develop climate resilience with AI. In November 2023, we published a whitepaper and playbook that expands on the incredible potential of AI for sustainability. Through our AI for Good team, we are collaborating with the United Nations to research the use of AI to advance the Early Warning for All Initiative, with a goal of better understanding the populations that may be at risk of extreme weather events and other threats. Last year, Microsoft CEO Satya Nadella called climate change “the defining issue of our generation.” To meet this generational challenge, we are putting sustainability at the center of our work. With each emerging technology, with each new opportunity, we ask ourselves an important question: How can we advance sustainability? As we strive to answer that question, we are developing new approaches, experimenting with new partnerships, and learning as we go. We are optimistic about the role technology can continue to play in accelerating climate progress, and we look forward to working with others on this critical journey for all of us.
    • World
    2024-05-17
  • [ESG] Ptagonia, 'Earth is now our only shareholder'
    전설적인 등반가, 서퍼, 환경운동가이자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둔 세계적 아웃도어 브랜드 파타고니아의 설립자 이본 쉬나드(Yvon Chouinard)가 전 재산을 지구에 기부 한다. 비상장 기업인 회사의 의결권 주식 100%는 비영리재단 Patagonia Purpose Trust, 무의결권 주식 100%는 환경단체 Holdfast Collective에 각각 출연하였다. 쉬나드 일가 소유 지분 가치는 약 30억달러(약 4.2조원)인 것으로 알려진다. 지구가 유일한 주주가 되어 향후 기업의 모든 이익이 지구의 기후변화 대응과 환경보호에 환원 및 사용 되도록 한 것이다. 등반가, 모험가 이본 쉬나드 이본 쉬나드는 전설적인 등반가이자 등산장비를 손수 제작했던 대장장이였다. 그는 주한미군으로 복무하던 시절 북한산을 오르며 암벽 등반 루트를 개척하기도 했다. 그리고 캘리포니아에서 아리헨티나 남쪽 파타고니아 지역까지 친구들과 험준하기로 유명한 피츠로이 등반을 위해 스키, 서핑을 하며 로드 여행을 했다. ● 북한산 인수봉 암벽등반 루트 개척 ※ 1960년대 당시 Chouinard (이본 쉬나드는 프랑스계 캐나다 태생)라는 이름이 영어식으로 발음된 것으로 보임 등반가 쉬나드는 주한미군으로 복무(1963년~1965년) 중에 한국의 등반가인 선우중옥과 함께 북한산 인수봉에 새로운 바윗길(암벽등반) 2개 (쉬나드A, 쉬나드B)를 개척하였다. 우리의 기억속에 그는 '늘 새로운 길을 열어 가는' 산악인이었다. 그는 스스로 대장장이가 되어 세상에 없던 등반 장비를 만들어 냈고, 요세미티 거벽등반(Big Wall Climbing)의 황금시대를 개척한 이들 중의 하나였으며, 히말라야의 미답봉들을 두루 섭렵한 다음에는 초등을 증명할 등반 개념도 따위를 모두 찍어 허공에 날려 버리는 파격을 일삼아 왔다. * 출처 : 「파타고니아, 파도가 칠 때는 서핑을」 (한국판) 추천의 글 ● Patagonia, Monte Fitz Roy 등반 : A Legendary Road Trip 피츠로이는 높이는 3,405m 이지만, 쉬나드 팀 이전에 단 2차례만 정상을 허락한 매우 험준한 산이다. If we have any hope of a thriving planet — much less a business — it is going to take all of us doing what we can with the resources we have. This is what we can do. " Earth is now our only shareholder " I never wanted to be a businessman. I started as a craftsman, making climbing gear for my friends and myself, then got into apparel. As we began to witness the extent of global warming and ecological destruction, and our own contribution to it, Patagonia committed to using our company to change the way business was done. If we could do the right thing while making enough to pay the bills, we could influence customers and other businesses, and maybe change the system along the way. We started with our products, using materials that caused less harm to the environment. We gave away 1% of sales each year. We became a certified B Corp and a California benefit corporation, writing our values into our corporate charter so they would be preserved. More recently, in 2018, we changed the company’s purpose to : We’re in business to save our home planet. While we’re doing our best to address the environmental crisis, it’s not enough. We needed to find a way to put more money into fighting the crisis while keeping the company’s values intact.
    • Business
    • 기업
    2024-05-03
  • [재생e] OECD 태양광 운용 넥스트파워 V ESG, 7.4억달러 달성
    태양광+인프라 부문에 특화된 글로벌 재생에너지 전문 운용사인 넥스트에너지 캐피탈(NextEnergy Capital, 이하 NEC)이 자사의 다섯 번째 전략인 넥스트파워 V ESG(‘NPV ESG’)의 2차 마감을 2억6500만 달러로 마무리했다고 발표했다. NPV ESG는 OECD에 초점을 맞춘 태양광 및 배터리 스토리지 전략으로, 20억달러 하드캡에 15억달러를 목표로 하며 현재까지 총 7억4500만달러의 약정을 확보했다. 새로운 자본에는 영국 LGPS 투자 풀, 네덜란드 연기금, 기존 넥스트파워 III ESG 투자자의 후속 펀드 투자(re-up)가 포함된다. 이 새로운 투자자들은 기존의 NPV ESG 투자자인 독일 직업연금기금 KLP 및 북유럽의 대형 연기금에 합류했다. NPV ESG는 계속해서 추가 자본을 유치할 계획이며, 현재 여러 투자자가 실사를 진행 중이다. NPV ESG의 투자 전략은 엄선된 OECD 시장의 태양광+ 인프라 부문을 타깃으로 하며, 각 목표 시장에서 중요한 포트폴리오를 구축하여 운영 실적을 쌓아 2033년 펀드 보유 기간 종료 시점에 포트폴리오를 매각하는 것이다. NPV ESG는 2007년부터 쌓은 NEC의 성공적인 실적을 활용하는데, 400건 이상의 유틸리티 규모 프로젝트 인수와 과거의 펀드를 통해 투자자에게 우수한 재무적 수익을 제공했다. 투자 한도에 도달하여 c.4GW를 공급할 때, NPV ESG는 연간 최대 110만 가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충분한 청정 에너지를 생산하고 연간 최대 천연가스 약 2억2000만㎥에 해당하는 화석 연료 소비를 방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NextEnergy Capital (“NEC”), a leading global renewables manager specialised on the solar+ infrastructure sector, is delighted to announce the conclusion of its second close of $265 million for its fifth strategy, NextPower V ESG (“NPV ESG”). NPV ESG is an OECD-focused solar and battery storage strategy targeting $1.5 billion with a $2 billion hard cap that has secured $745 million in total commitments to date. The new capital includes commitments from a UK LGPS investment pool, a Dutch pension fund, and another re-up from an existing NextPower III ESG investor. These new investors join existing NPV ESG investors KLP, a German occupational pension fund, and a large Nordic pension fund. NPV ESG will continue welcoming further capital, with several investors currently active in due diligence. NPV ESG’s investment strategy targets the solar+ infrastructure sector in carefully selected OECD markets, with the objective of building significant portfolios in each target market, establishing an operational track record and divesting the portfolio at the end of the fund’s holding period in 2033. NPV ESG leverages NEC’s successful track record since 2007, with over 400 utility-scale projects acquired and previous funds delivering superior financial returns to investors. Upon reaching its investment ceiling and delivering c.4GW, NPV ESG is forecasted to generate enough clean energy to power the equivalent of up to 1.1 million households per year and avoid an estimated fossil fuel consumption of up to nearly 220 million m3 of natural gas annually
    • Market
    • Finance
    2024-05-02
  • [금융] Toxic Bonds Network, 주요 은행들 한국전력 채권 발행 중단 촉구
    4월 24일, 독성채권네트워크(Toxic Bonds Network)는 씨티그룹, 뱅크오브아메리카(Bank of America), 미즈호, 스탠다드차타드 CEO들에게 서한을 보내 한국전력공사(KEPCO) - 석탄 사용 전력 40% 생산 -에 대한 신규 채권 발행을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독성 채권 네트워크(Toxic Bonds Network)는 지구 온난화를 1.5도로 제한하기 위해 수조 달러의 화석 연료 채권을 추적하고 중단을 추진하는 단체이다. 화석연료 의존도가 높은 한국전력은 연료비 상승으로 지난 3년간 총 365억 달러(50조원)의 손실을 기록했으며, 채권을 통한 자금조달 비중이 상당히 높다. 2023년 12월 기준 총 584억 달러(80조원)의 채권을 발행했다. 2019년부터 2024년까지 한전은 글로벌 녹색채권 발행을 두 배 이상 늘렸다. 기후솔루션(Solutions for Our Climate) 기후금융 담당자는 “화석연료에서 벗어나겠다는 구체적인 계획이 없다면 한전의 끊임없는 채권발행은 오래가지 못할 것입니다. 기후변화 대응을 빙자해 녹색채권을 발행했음에도 불구하고 한전과 발전자회사의 재생에너지 발전량은 여전히 2%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이번 서한은 한전 글로벌 녹색채권의 그린워싱 리스크를 강조하고 있다. 한전의 2023년 녹색채권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전 세계적으로 발행된 녹색채권 16억 달러 중 7억 8,340만 달러가 어떻게 지출되거나 배분되었는지에 대한 기록이 없다. 2023년 한전 발전 자회사는 국내 녹색채권을 통해 조달한 2억3370만달러(3200억원)를 화석가스 프로젝트에 사용했다는 비난을 받았다. 한전의 계속된 석탄 의존으로 인해 네덜란드 APG, 스웨덴 AP7 등 기관투자자들이 지분을 매각했다. 또한 BNP파리바는 한전의 석탄 정책을 따르지 못해 더 이상 한전의 개방형 펀드 포지션을 보유하지 않을 것으로 전해진다. 한전 채권을 인수하는 은행은 상당한 리스크에 직면해 있다. 한전을 계속 지원함으로써 은행은 지속 가능한 금융에 대한 약속에 어긋나고 잠재적인 법적, 재정적 결과에 노출된다. On April 24, the Toxic Bonds Network sent letters to the CEOs of Citigroup, Bank of America, Mizuho and Standard Chartered, calling on the banks to immediately stop facilitating any new bond issuance for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KEPCO), a South Korean state-run power utility that generates 40% of its electricity from coal. The Toxic Bonds Network helps track – and stop – the trillions of dollars of fossil fuel bonds that are financing the climate crisis to limit global warming to 1.5 degrees. KEPCO relies heavily on fossil fuels and has incurred a total loss of $36.5 billion (KRW 50 trillion) over the last three years amid rising fuel prices. The company depends on bonds as a significant source of revenue to maintain its coal business. As of December 2023, it issued a total of $58.4 billion (KRW 80 trillion) of bonds. Between 2019 and 2024, KEPCO more than doubled its global green bond issuance. “Without any concrete plans to transition away from fossil fuels, KEPCO’s relentless bond issuance will only last so long. Despite issuing green bonds under the guise of climate action, KEPCO and its generation subsidiaries still only generate 2 percent of its electricity from renewables.” – Evgeniya Lee, Climate Finance associate at Solutions for Our Climate The letter underscores the greenwashing risk of KEPCO’s global green bonds. According to KEPCO’s 2023 Green Bond Report, out of $1.6 billion of green bonds globally issued in 2022, there were no records of how $783.4 million was spent or allocated. In 2023, KEPCO’s generation subsidiary came under fire for using $233.7 million (KRW 320 billion) worth of domestic green bond revenue on fossil gas projects. “This lack of transparency prompted greenwashing complaints to be filed against KEPCO in Korea this March. The legal claim centered around exaggerated and deceptive advertising regarding its global green bond issuances. Financial institutions should carefully consider the potential legal implications and reputational risks associated with underwriting KEPCO’s green bonds. Supporting such bonds could inadvertently contribute to misleading practices and undermine the integrity of their own environmental and social policies and declarations.” – Gwanhaeng Lee, Senior Foreign Counsel at Solutions for Our Climate. As a result of KEPCO’s continued reliance on coal, major shareholders, including the Dutch APG and Sweden’s AP7, have divested from the utility. Additionally, BNP Paribas, a multinational bank, no longer holds any positions in KEPCO in open-end funds as it fails to meet the bank’s coal policy. Banks underwriting KEPCO’s bonds face significant risks. By continuing to support KEPCO, the banks contradict their own public commitments to sustainable practices and expose themselves to potential legal and financial consequences. Campaigners from Solutions from Our Climate stood outside the offices of Citi and Standard Chartered, urging the banks to stop financing KEPCO. The Toxic Bonds Network has requested a formal response from each bank by May 8.
    • World
    2024-04-29
  • [순환] 푸마, 2년간 퇴비화 실험 ‘리:스웨이드 2.0’ 스니커즈 판매
    스포츠 기업 푸마(PUMA)가 실험적인 리:스웨이드(RE:SUEDE) 스니커즈의 상용 버전 ‘리:스웨이드 2.0’을 판매한다. 푸마는 2년간의 파일럿 프로젝트 동안 리:스웨이드를 맞춤형 산업 조건에서 퇴비로 전환하는 데 성공할 수 있었음을 보여주었다. 2023년 말에 성공적으로 마무리된 실험의 일환으로 푸마는 제올로지(Zeology) 태닝 스웨이드와 같이 분해 능력 때문에 선택된 소재로 특별한 500켤레의 상징적인 스웨이드 스니커를 생산했다. 자원자들이 리:스웨이드를 푸마에 반환하기 전까지 반년 동안 착용했으며, 이 스니커들은 푸마의 퇴비화 파트너 업체들에서 특수 장비를 갖춘 산업용 퇴비화 시설에서 퇴비로 전환될 수 있었다. 푸마는 이제 이 신발의 상용 버전인 500켤레의 리:스웨이드 2.0을 4월 22일부터 puma.com/eu와 잘란도 플러스(Zalando Plus)에서 판매하기 시작했다. 상용 버전은 실험 중에 배운 교훈과 자원자들로부터받은 피드백을 통합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일단 리:스웨이드 2.0이 닳으면 고객들은 무료로 반품할 수 있다. 그런 다음 푸마는 스니커즈를 파트너에게 보내 특수 장비를 갖춘 산업용 퇴비화 공정을 거칠 수 있도록 한다. 반품하는 대가로 고객들은 다음 구매 시 20% 할인을 받게 된다. 리:스웨이드 프로젝트와 새로운 폴리에스터 재활용 프로그램인 ‘리:파이버(RE:FIBER)’는 푸마의 혁신 및 디자인 전문가들이 이끄는, 회사의 순환 프로그램의 미래를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혁신 허브인 ‘서큘러 랩(Circular Lab)’의 일환으로 제작되었다. 푸마의 생산 방식을 제고하고 보다 순환적인 비즈니스 모델로 전환하는 것은 향후 몇 년에 걸친 회사의 ‘영원히. 더 좋게.(FOREVER. BETTER.)’ 지속 가능성 전략의 우선순위 중 하나이다.
    • World
    2024-04-29
  • ['21.05.26] 헤이그 법원, 로열더치쉘 탄소배출 45% 감축 판결
    [선고일 : 2021년 5월 26일] 헤이그 법원은 원고인 '지구의벗'과 1만7천여 명의 공동 소송인단의 주장을 받아들여 로열더치쉘이 2030년까지 탄소배출을 2019년 대비 45% 감축할 것을 판결하였다. 로열더치쉘은 1988-2015 기간 중 전세계에서 9번째로 많은 탄소를 배출한 기업으로 분석된다. 온실가스 배출량의 83%가 석유, 가스, 석탄 등 전통 에너지 기업의 화석연료에 비롯되었다는 분석이 있다. 이번 판결은 법원이 민간기업의 파리협정에 따른 탄소배출 감축 의무 결정을 내린 중대한 사건으로 평가된다. 또한, 주요 탄소배출 기업들에게도 향후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소송의 이유는 네덜란드 민법과 EU조약의 '생명권과 가족권' 침해이다. < Royal Dutch Shell to cut carbon emissions by 45% > Oil giant told plans should be brought into line with Paris climate agreement A court in the Hague has ordered Royal Dutch Shell to cut its global carbon emissions by 45% by the end of 2030 compared with 2019 levels, in a landmark case brought by Friends of the Earth and over 17,000 co-plaintiffs. The oil giant’s sustainability policy was found to be insufficiently “concrete” by the Dutch court in an unprecedented ruling that will have wide implications for the energy industry and other polluting multinationals. The Anglo-Dutch company was told it had a duty of care and that the level of emission reductions of Shell and its suppliers and buyers should be brought into line with the Paris climate agreement. Shell had said in February it would accelerate the transition of its business to net-zero emissions, including targets to reduce the carbon intensity of energy products by 6-8% by 2023, 20% by 2030, 45% by 2035 and 100% by 2050. But lawyers for the plaintiffs successfully argued that the company had been aware for decades of the dangerous consequences of CO2 emissions and its targets remained insufficiently robust. It was claimed that Shell was breaching article 6:162 of the Dutch civil code and violating articles 2 and 8 of the European convention on human rights – the right to life and the right to family life – by causing a danger to others when alternative measures could be be taken. The court ruled that there were indeed obligations under both Dutch law and the convention and that the company had known for “a long time” about the damage of carbon emissions. While the company had not acted unlawfully, the court said it had established that there would be an “imminent violation of the reduction obligation”. It added that company’s “policy intentions and ambitions for the Shell group largely amount to rather intangible, undefined and non-binding plans for the long-term”. It found they were “dependent on the pace at which global society moves towards the climate goals of the Paris agreement”, allowing it to move more slowly, and that the “emissions reduction targets for 2030 are lacking completely”. Shell had argued that there was no legal basis for the case and that governments alone are responsible for meeting Paris targets. The court found that “since 2012 there has been broad international consensus about the need for non-state action, because states cannot tackle the climate issue on their own”.
    • World
    • 정책
    2024-04-23

정책 검색결과

  • [공시] 한국회계기준원, 국내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공개초안 발표
    한국회계기준원 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KSSB)는 우리 기업과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 및 발전을 촉진하고 우리 기업이 글로벌 자본시장에 비교 가능하고 양질의 지속가능성 재무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국내 지속가능성 공시기준의 공개초안을 발표했다. 최근 지속가능한 성장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유럽연합(EU), 미국, 일본 등 전 세계 주요 국가들도 지속가능성 공시기준을 제정 및 시행하고 있으며 관련 공시제도 수립을 적극적으로 추진 중이다. 이러한 글로벌 ESG 규제 강화에 국내 기업이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국내 기준 적용에 과도한 부담이 되지 않도록 국제 기준과 정합하며 국내 기업의 공시역량과 준비상황을 균형 있게 고려한 국내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제정이 필요하다. 한편, 육아 친화 경영 및 산업안전과 같은 정책적 지원 필요성이 있는 지속가능성 관련 정보(정책 목적의 지표)를 선택하여 공시하도록 하여, 저출산·고령화와 같이 우리 사회가 당면한 위험을 정부와 기업이 함께 대비해 나갈 수 있도록 했다. 지속가능성 공시기준은 기업이 준수해야 하는 의무 공시기준(제1호 및 제2호)과 적용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공시기준(제101호)으로 구성된다. 구분 번호 명칭 비고 의무공시 기준 제1호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공시를 위한 일반사항 지속가능성 사안과 관련된 개념적 기반과일반사항 제시(IFRS S1 기반) 제2호 기후 관련 공시사항 기후 관련 위험 및 기회 관련 공시요구사항 제시(IFRS S2 기반) 추가공시 (선택) 기준 제101호 정책 목적을 고려한 추가공시 (선택)사항 지속가능성 관련 사안 중 정책 목적에 따라공시가 권유되는 사안을 다룸 < 주요 공시 기준 > 1. 기후 의무 공시 (제1호) ㅇ 기업 전망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합리적으로 예상할 수 있는 기후 관련 위험 및 기회를 공시해야 함 - 기후 관련 사안은 기업의 재무 보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글로벌 자본시장에서도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음 - 또한, 기후 관련 사안은 다른 지속가능성 관련 주제들보다 정량화가 용이하여 기업의 공시 부담이 상대적으로 낮음 ㅇ 다만 기업이 기후 외 다른 지속가능성 관련 사안을 공시하고자 한다면 선택하여 공시할 수 있도록 공시기준을 제시 2. 보고기업 (제1호) ㅇ 재무제표의 보고기업과 동일한 보고기업(연결실체)에 대해 작성 -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공시와 재무제표 간의 연계성을 고려하면, 보고기업이 재무제표와 동일할 때 자본시장 이용자에게 유용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음 - 또한, 보고범위가 제한될 경우, 정보공시 회피로 워싱(Washing) 문제가 대두될 수 있어 글로벌 투자자들은 연결실체의 정보를 요구하는 상황 ㅇ 따라서,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하는 기업은 연결실체 입장에서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를 공시해야 함 3. 온실가스 배출량(제2호) ㅇ 공시기준 공개초안에서는 온실가스 배출량(스코프 1·2·3) 관련 측정방법 등 기준을 제시 - 온실가스 측정의 어려움 등을 감안하여 국제기준(GHG 프로토콜) 뿐만 아니라 국내에서 요구하는 다른 측정 방법(예: 탄소중립기본법상 기준)의 사용도 허용 ㅇ 다만, 스코프 3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의 의무화 여부, 의무화 시기 등은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결정할 예정 4. 산업기반지표 (제2호) ㅇ 산업기반지표 공시 여부를 기업이 선택할 수 있음 - 동일 산업내에서 공통적으로 적용할 산업별 기준이 부재하여, 산업별로 공시 정보가 명확하지 않은 상황을 고려 5. 정책목적을 고려한 추가 공시사항 (제101호) ㅇ 현재 법률이나 규정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산발적으로 공개하고 있는 지속가능성 관련 정보를 지속가능성 재무정보와 함께 공시하도록 하여 정보유용성을 향상시키고, - 육아 친화 경영, 산업 안전, 인권 경영, 장애인 고용 등 정부가 추구하는 정책의 이행을 독려하기 위한 목적 ㅇ 기업은 제101호의 적용 여부를 선택할 수 있으며, 공시 요구사항 항목별로도 선택하여 공시할 수 있음 기준원은 공개초안에 대해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충분한 의견조회(‘24.5.1부터~’24.8.31까지)를 한 다음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지속적으로 청취해 최종안에 반영할 예정이다.
    • 정책
    2024-05-03

탄소 검색결과

  • [배터리] eVLink-한국환경공단, 폐배터리 신속진단기술 성능평가
    이브이링크는 한국환경공단과 함께 미래폐자원 거점수거센터에 보관 중인 폐배터리에 대해 국내 최초로 SW검사방식이 적용된 신속진단기술 신뢰성 테스트를 진행했다. 전기차 배터리는 폐차 이후에도 재사용 및 재제조로 활용 가능하며, 관련 산업들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배터리 성능평가를 위한 기존의 물리적 진단 방식은 배터리 1대를 진단하는데 약 8~12시간이 소요되며, 진단 준비작업에도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이번 한국환경공단과 이브이링크의 신속진단기술 신뢰성 테스트는 소요 시간이 10분 이하에 불과해 앞으로 다량 발생될 전기차 폐배터리 시장에서 신속진단기술의 운영 기반을 마련하게 됐다. 대기환경보전법에는 2021년 1월 1일 이전 등록한 전기차의 배터리에 대해서는 폐차 이후 지자체 또는 한국환경공단이 운영하는 미래폐자원 거점수거센터에 반납하도록 규정돼 있다. 한국환경공단은 이렇게 반납된 폐배터리를 진단 및 성능평가해 공개 입찰을 통한 매각을 진행한다. 이브이링크에서 개발한 신속정밀진단기(CDS)는 사용 중 배터리 및 폐배터리의 평가에 있어 불필요한 시간을 줄이고, 고전압 안전을 회피할 수 있는 획기적인 제품이다. 또한 사용자 편의를 위해 블루투스 무선운영 방식을 적용하고 있으며, 성능평가에서 수집되는 배터리(BMS)의 모든 기초데이터를 서버에 저장해 사용 후 배터리 시장에서 필요한 정보를 모두 담고 있다. 주식회사 이브이링크는 전기차의 사용부터 폐기까지 수명주기 전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영역의 이벤트에 대응하는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는 회사로, 2021년 8월 설립됐다. 전기차 배터리 등 전기차 부품의 성능진단 및 진단결과의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고차 성능평가, 평가 데이터베이스 제공, 중고부품 재제조, 재사용, 산업 원료화를 위한 재활용을 사업모델로 하고 있다. 또한 전기차 리퍼비시 부품판매, 진단기술을 활용한 보험수리 서비스, 중고차 거래 등의 플랫폼 사업도 추진 중이다.
    • 탄소
    • 순환경제
    2024-05-19
  • [순환] 푸마, 2년간 퇴비화 실험 ‘리:스웨이드 2.0’ 스니커즈 판매
    스포츠 기업 푸마(PUMA)가 실험적인 리:스웨이드(RE:SUEDE) 스니커즈의 상용 버전 ‘리:스웨이드 2.0’을 판매한다. 푸마는 2년간의 파일럿 프로젝트 동안 리:스웨이드를 맞춤형 산업 조건에서 퇴비로 전환하는 데 성공할 수 있었음을 보여주었다. 2023년 말에 성공적으로 마무리된 실험의 일환으로 푸마는 제올로지(Zeology) 태닝 스웨이드와 같이 분해 능력 때문에 선택된 소재로 특별한 500켤레의 상징적인 스웨이드 스니커를 생산했다. 자원자들이 리:스웨이드를 푸마에 반환하기 전까지 반년 동안 착용했으며, 이 스니커들은 푸마의 퇴비화 파트너 업체들에서 특수 장비를 갖춘 산업용 퇴비화 시설에서 퇴비로 전환될 수 있었다. 푸마는 이제 이 신발의 상용 버전인 500켤레의 리:스웨이드 2.0을 4월 22일부터 puma.com/eu와 잘란도 플러스(Zalando Plus)에서 판매하기 시작했다. 상용 버전은 실험 중에 배운 교훈과 자원자들로부터받은 피드백을 통합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일단 리:스웨이드 2.0이 닳으면 고객들은 무료로 반품할 수 있다. 그런 다음 푸마는 스니커즈를 파트너에게 보내 특수 장비를 갖춘 산업용 퇴비화 공정을 거칠 수 있도록 한다. 반품하는 대가로 고객들은 다음 구매 시 20% 할인을 받게 된다. 리:스웨이드 프로젝트와 새로운 폴리에스터 재활용 프로그램인 ‘리:파이버(RE:FIBER)’는 푸마의 혁신 및 디자인 전문가들이 이끄는, 회사의 순환 프로그램의 미래를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혁신 허브인 ‘서큘러 랩(Circular Lab)’의 일환으로 제작되었다. 푸마의 생산 방식을 제고하고 보다 순환적인 비즈니스 모델로 전환하는 것은 향후 몇 년에 걸친 회사의 ‘영원히. 더 좋게.(FOREVER. BETTER.)’ 지속 가능성 전략의 우선순위 중 하나이다.
    • World
    2024-04-29

Business 검색결과

  • [IT] MS 2024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Report
    Accelerating innovation and partnership for people and the planet Four years ago, Microsoft committed that, by 2030, we would become carbon negative, water positive, zero waste, and protect more land than we use. Since that announcement, we have seen major changes both in the technology sector and in our understanding of what it will take to meet our climate goals. New technologies, including generative AI, hold promise for new innovations that can help address the climate crisis. At the same time, the infrastructure and electricity needed for these technologies create new challenges for meeting sustainability commitments across the tech sector. As we take stock as a company in 2024, we remain resolute in our commitment to meet our climate goals and to empower others with the technology needed to build a more sustainable future. At the end of last year, the world met in Dubai at COP28 to assess global sustainability progress. The results were sobering. The world is not on track to meet critical climate goals, and we see many of the world’s challenges reflected in our own situation. During the past four years, we have overcome multiple bottlenecks and have accelerated progress in meaningful ways. As we report here, we are on track in several areas. But not in every area. We therefore are mobilizing to accelerate progress in areas where we’re not yet on track. In four areas we are on track, and in each of these we see progress that has the potential to have global impact beyond our own sustainability work. These are: - Reducing our direct operational emissions (Scope 1 and 2) - Accelerating carbon removal - Designing for circularity to minimize waste and reusing cloud hardware - Improving biodiversity and protecting more land than we use At the same time, there are two areas where we’re not yet on track, and in each of these we are intensively engaged in work to identify and pursue additional breakthroughs. These are: - Reducing our Scope 3, or indirect, emissions - Reducing water use and replenishing more water than we consume in our datacenter operations Even amid the challenges, we remain optimistic. We’re encouraged by ongoing progress across our campuses and datacenters, and throughout our value chain. Even more, we’re inspired by the scores of executives and employees across Microsoft who are rolling up their sleeves and identifying new and innovative steps that are helping us to close critical gaps. We all recognize the same thing: There is no issue today that connects everyone on the planet more than the issues around climate change. We all need to succeed together. Carbon negative Our carbon negative commitment includes three primary areas: reducing carbon emissions; increasing use of carbon-free electricity; and carbon removal. We made meaningful progress on carbon-free electricity and carbon removal in FY23. Microsoft has taken a first-mover approach to supporting carbon-free electricity infrastructure, making long-term investments to bring more carbon-free electricity onto the grids where we operate. In 2023, we increased our contracted portfolio of renewable energy assets to more than 19.8 gigawatts (GW), including projects in 21 countries. In FY23, we also contracted 5,015,019 metric tons of carbon removal to be retired over the next 15 years. We are continuing to build a portfolio of projects, balanced across low, medium, and high durability solutions. Carbon reduction continues to be an area of focus, especially as we work to address Scope 3 emissions. In 2023, we saw our Scope 1 and 2 emissions decrease by 6.3% from our 2020 baseline. This area remains on track to meet our goals. But our indirect emissions (Scope 3) increased by 30.9%. In aggregate, across all Scopes 1–3, Microsoft’s emissions are up 29.1% from the 2020 baseline. The rise in our Scope 3 emissions primarily comes from the construction of more datacenters and the associated embodied carbon in building materials, as well as hardware components such as semiconductors, servers, and racks. Our challenges are in part unique to our position as a leading cloud supplier that is expanding its datacenters. But, even more, we reflect the challenges the world must overcome to develop and use greener concrete, steel, fuels, and chips. These are the biggest drivers of our Scope 3 challenges. We have launched a company-wide initiative to identify and develop the added measures we’ll need to reduce our Scope 3 emissions. Leaders in every area of the company have stepped up to sponsor and drive this work. This led to the development of more than 80 discrete and significant measures that will help us reduce these emissions – including a new requirement for select scale, high-volume suppliers to use 100% carbon-free electricity for Microsoft delivered goods and services by 2030. As a whole, this work builds on our multi-prong strategy, this year focusing on the following: 1. Improving measurement by harnessing the power of digital technology to garner better insight and action 2. Increasing efficiency by applying datacenter innovations that improve efficiency as quickly as possible 3. Forging partnerships to accelerate technology breakthroughs through our investments and AI capabilities, including for greener steel, concrete, and fuels 4. Building markets by using our purchasing power to accelerate market demand for these types of breakthroughs 5. Advocating for public policy changes that will accelerate climate advances Water positive We take a holistic approach to becoming water positive, which includes water access, replenishment, innovation, reduction, and policy. In 2023, we achieved our water access target by providing more than 1.5 million people with access to clean water and sanitation solutions. We contracted water replenishment projects estimated to provide more than 25 million m3 in volumetric water benefit over the lifetime of these projects – enough water to fill about 10,000 Olympic-sized swimming pools. Finally, we continue to drive innovation in water, through first-of-their kind replenishment projects like FIDO, which leverages AI-enabled acoustic analysis to reduce water loss from leakage. Looking ahead, as our datacenter business continues to grow, so does the need to minimize our water consumption and replenish more than we consume in these operations. In FY23, our progress on water accelerated, and we know we need to implement an even stronger plan to accelerate it further. We therefore are investing in our water positive commitment in four ways: 1. We are taking action to reduce the intensity with which we withdraw resources by continuing to design and innovate in order to minimize water use and achieve our intensity target 2. Our new datacenters are designed and optimized to support AI workloads and will consume zero water for cooling. This initiative aims to further reduce our global reliance on freshwater resources as AI compute demands increase 3. We are partnering to advance water policy. In 2023, we joined the Coalition for Water Recycling. Over the coming year we will finalize a position and strategy for water policy 4. We are developing innovative scalable replenishment projects in high water stress locations where we operate datacenters. We recently announced Water United, a new initiative to unite public and private sectors in reducing water loss from leakage across the Colorado River Basin Zero waste Our journey to zero waste includes reducing waste at our campuses and datacenters, advancing circular cloud hardware and packaging, and improving device and packaging circularity. In FY23, we achieved a reuse and recycle rate of 89.4% for servers and components across all cloud hardware, a target that is increasingly important as needs for cloud services continue to grow. In 2023, we also diverted more than 18,537 metric tons of waste from landfills or incinerators across our owned datacenters and campuses, and we reduced single-use plastics in our Microsoft product packaging to 2.7%. From expanding our Circular Centers to piloting programs that give a second life to used fiber optic cables through partnerships with local technical schools, we are working to keep materials in use longer and approach our work at every stage with circularity in mind. We are accelerating our work to reuse and recycle cloud hardware wherever possible, and launched two new Circular Centers in Quincy, Washington, and Chicago, Illinois in 2023. Protecting ecosystems We have committed to protecting more land than we use by 2025, while preserving and restoring ecosystems in the areas where we live and work. As of FY23, we exceeded our land protection target by more than 40%. At this point, 15,849 acres of land have been legally designated as permanently protected compared to our goal of 11,000 acres. We are incorporating green business practices that support the surrounding ecosystems near our campuses and datacenters. This includes regenerative design solutions around our datacenters that enhance local biodiversity, improved stormwater management, and contributing to climate resilience. We are also piloting AI-driven Microsoft technology to provide insights into the overall health of the ecosystem and inform future actions. Customer and global sustainability In last year’s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Report, we announced that we were expanding our ambition to help advance sustainability for our customers and the world. In 2023, we continued this work to empower our customers and partners on their own sustainability journey by creating the technology needed to better manage resources and optimize systems. On a global scale, we focused on accelerating innovation, research, and policy, not only for ourselves but also to support a more sustainable world for all. The shift from pledges to progress requires action,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Microsoft Cloud for Sustainability is helping customers unify data and garner richer insights into the sustainability of their business. In 2023, we expanded Microsoft Sustainability Manager to include Scopes 1, 2, and all 15 categories of Scope 3 carbon emissions to help track progress and inform action across an organization’s operations and value chains. As the world experiences worsening impacts of climate change, we are also helping to put planetary data into the hands of researchers, governments, companies, and individuals through the Planetary Computer. We are providing open access to petabytes of environmental monitoring data to help empower people with actionable information to protect their communities. Microsoft’s sustainability progress requires global engagement. We are investing in innovative solutions, advancing research, and advocating for policies that we believe can drive progress at scale. A hallmark of this effort has been our Climate Innovation Fund (CIF) – our $1 billion commitment set in 2020 to advance innovation beyond Microsoft’s four walls. To date, the CIF has allocated $761 million toward innovative climate technologies including commercial direct air-capture technologies, sustainable aviation fuel (SAF), industrial decarbonization, and more. Our science, research, and AI for Good teams are also working to accelerate solutions and develop climate resilience with AI. In November 2023, we published a whitepaper and playbook that expands on the incredible potential of AI for sustainability. Through our AI for Good team, we are collaborating with the United Nations to research the use of AI to advance the Early Warning for All Initiative, with a goal of better understanding the populations that may be at risk of extreme weather events and other threats. Last year, Microsoft CEO Satya Nadella called climate change “the defining issue of our generation.” To meet this generational challenge, we are putting sustainability at the center of our work. With each emerging technology, with each new opportunity, we ask ourselves an important question: How can we advance sustainability? As we strive to answer that question, we are developing new approaches, experimenting with new partnerships, and learning as we go. We are optimistic about the role technology can continue to play in accelerating climate progress, and we look forward to working with others on this critical journey for all of us.
    • World
    2024-05-17
  • [EV] 현대, 싱가포르 글로벌혁신센터 오픈
    현대자동차그룹이 싱가포르에 100년 기업을 향한 새로운 도전에 나선다. 현대자동차그룹은 싱가포르 서부 주롱 혁신지구(Jurong Innovation District)에 위치한 ‘현대차그룹 싱가포르 글로벌 혁신센터(Hyundai Motor Group Innovation Center Singapore : 이하 HMGICS)’를 오픈했다. 싱가포르 글로벌혁신센터는 인간 중심의 스마트 도심형 모빌리티 허브를 구축하고 내연기관 50년을 넘어 향후 전동화 시대 50년을 선도하기 위한 결정으로, 울산 EV 전용공장과 함께 현대차그룹 혁신의 두 축으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HMGICS는 현대차그룹이 △지능형, 자동화 제조 플랫폼 기반 ‘기술 혁신’ △다품종 유연 생산 시스템 중심 ‘제조 혁신’ △고객 경험 기반 판매 모델 구축 등 ‘비즈니스 혁신’을 바탕으로 인간 중심의 미래 모빌리티를 연구하고 실증하는 테스트베드다. 현대차그룹은 싱가포르의 우수한 기반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R&D, 제조, 비즈니스 등 3가지 분야의 혁신을 이룩하고 그룹의 지속 성장 동력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현대차그룹은 HMGICS에 △인공지능(AI), 로보틱스 등 첨단기술이 적용된 고도로 자동화된 셀(Cell) 기반 유연 생산 시스템 △현실과 가상을 동기화하는 디지털 트윈 기술 기반 효율적인 생산 운영 △데이터 기반 지능형 운영 시스템 △인간과 로봇이 조화를 이루는 인간 중심의 제조 공정 등을 통해 다양한 환경 변화와 고객 니즈에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했다. ◇ HMGICS, 모빌리티 생산의 새로운 시대를 열다 HMGICS가 위치한 주롱 혁신지구는 2016년 싱가포르 정부가 발표한 경제개혁 계획안에 따라 개발되고 있는 지역으로, 제조업 육성과 공정 전반을 디지털로 전환하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을 주도하는 첨단 산업단지로 거듭나고 있다. HMGICS는 주롱 혁신지구 내 약 4만4000㎡(1만3000평)의 부지에 총면적 약 9만㎡(2만7000평), 지하 2층, 지상 7층 규모로 건립됐다. HMGICS는 인공지능, 정보통신기술(ICT), 로보틱스 등 첨단기술을 융합한 인간 중심의 제조 시스템을 바탕으로 시장 변화 및 ‘셀(Cell)’ 시스템 생산방식으로 수요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다차종 소량 생산 시스템을 갖추었다 또한, 3차원 공간에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즉 메타 팩토리(Meta-Factory)를 구축해 실제 공정을 시범 가동하지 않고도 최적화된 가동률을 산정할 수 있게 되며, 물리적인 방문 없이도 제조와 물류 공정을 손쉽게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로봇과 사람의 유기적인 연결도 HMGICS의 특징이다. 디지털 트윈을 활용해 작업자가 가상의 공간에서 지시를 내리면 부품, 차체, 조립 등 각각의 공정에 배치된 로봇들이 최적의 타이밍과 경로를 계산해 업무를 수행한다. ◇ HMGICS, 고객 중심의 브랜드 경험을 재정의하다 HMGICS는 모빌리티의 주문부터 인도까지 이어지는 고객 중심의 플랫폼을 구축했다. 고객이 스마트폰 등을 통해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트림, 색상, 옵션 등 사양을 적용해 차량을 주문하면 HMGICS는 고객의 주문에 따라 차량을 생산한다. 제조가 완료된 차량은 건물 옥상에 위치한 길이 620m의 스카이트랙으로 옮겨져 주행 테스트를 진행하게 된다. 고객들도 스카이트랙에서 시승을 경험할 수 있다. HMGICS는 건물 일부에 투명 유리를 적용해 차량 인도를 위해 방문하는 고객들이 바깥에서도 전시 공간을 들여다볼 수 있도록 했다. 건물 3층 고객 경험 공간에서는 고객들이 VR 투어를 통해 가상 공간에서 차량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체험해 볼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투어 후 자동차가 생산되는 실제 스마트 팩토리의 모습을 직접 볼 수 있도록 했다. HMGICS 1층과 3층에는 로보틱스 등의 첨단기술을 활용한 미래형 농장 ‘스마트 팜(Smart Farm)’을 설치했다. 싱가포르는 농토의 비율이 1%에 불과해 식량의 90%의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정부는 2030년까지 자국 내 식량 생산 비율을 30%까지 높이기 위해 ‘30 By 30’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스마트 팜을 통해 싱가포르의 식량 이슈를 해결할 수 있는 솔루션을 기여한다는 목표다. ◇ HMGICS, 싱가포르와 동반 성장을 이끌다 현대차그룹은 지속가능한 모빌리티 제조 기술 및 생산 솔루션을 개발하기 위해 기업 연구소(Corporate Lab) 프로그램 등을 통해 현지 생태계와 긴밀한 협업 관계를 구축한다. HMGICS는 난양이공대학(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NTU) 및 싱가포르 통상산업부 산하 기술개발연구소인 과학기술청(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A*star)과 기술개발 생태계 구축 MOU를 체결하고 싱가포르 최초로 대학, 정부, 기업이 합작한 연구소를 설립한다. 합작 연구소에서는 싱가포르의 우수 인재를 활용해 인공지능, 로보틱스, 메타버스 등 차세대 자율 생산 운영 체제에 대해 연구할 예정이다. 싱가포르 경제인 연합회(Singapore Business Federation, SBF), 싱가포르 제조업 연합회(Singapore Manufacturing Federatiobn, SMF)와 지속가능하고 차별화된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를 만들어가는데 적극 나설 계획이다. 한편 현대차는 싱가포르 물류기업 PTCL(Poh Tiong Choon Logistics)과 ‘수소모빌리티 생태계 구축 협력 MOU’를 체결하고 싱가포르 수소모빌리티 생태계 구축 및 발전에 공동 협력하기로 했다. MOU를 통해 현대차는 싱가포르 수소 생태계 관련 사업 기회를 발굴하고 협업체계를 구축하는 한편, PTCL은 수소 사업 관련 현지 코디네이터로서 현대차의 참여를 지원하고 사업 기회를 공동 모색하는 등 싱가포르의 에너지 전환에 힘을 모을 계획이다.
    • Business
    • 기업
    2024-05-10
  • [ESG] Ptagonia, 'Earth is now our only shareholder'
    전설적인 등반가, 서퍼, 환경운동가이자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둔 세계적 아웃도어 브랜드 파타고니아의 설립자 이본 쉬나드(Yvon Chouinard)가 전 재산을 지구에 기부 한다. 비상장 기업인 회사의 의결권 주식 100%는 비영리재단 Patagonia Purpose Trust, 무의결권 주식 100%는 환경단체 Holdfast Collective에 각각 출연하였다. 쉬나드 일가 소유 지분 가치는 약 30억달러(약 4.2조원)인 것으로 알려진다. 지구가 유일한 주주가 되어 향후 기업의 모든 이익이 지구의 기후변화 대응과 환경보호에 환원 및 사용 되도록 한 것이다. 등반가, 모험가 이본 쉬나드 이본 쉬나드는 전설적인 등반가이자 등산장비를 손수 제작했던 대장장이였다. 그는 주한미군으로 복무하던 시절 북한산을 오르며 암벽 등반 루트를 개척하기도 했다. 그리고 캘리포니아에서 아리헨티나 남쪽 파타고니아 지역까지 친구들과 험준하기로 유명한 피츠로이 등반을 위해 스키, 서핑을 하며 로드 여행을 했다. ● 북한산 인수봉 암벽등반 루트 개척 ※ 1960년대 당시 Chouinard (이본 쉬나드는 프랑스계 캐나다 태생)라는 이름이 영어식으로 발음된 것으로 보임 등반가 쉬나드는 주한미군으로 복무(1963년~1965년) 중에 한국의 등반가인 선우중옥과 함께 북한산 인수봉에 새로운 바윗길(암벽등반) 2개 (쉬나드A, 쉬나드B)를 개척하였다. 우리의 기억속에 그는 '늘 새로운 길을 열어 가는' 산악인이었다. 그는 스스로 대장장이가 되어 세상에 없던 등반 장비를 만들어 냈고, 요세미티 거벽등반(Big Wall Climbing)의 황금시대를 개척한 이들 중의 하나였으며, 히말라야의 미답봉들을 두루 섭렵한 다음에는 초등을 증명할 등반 개념도 따위를 모두 찍어 허공에 날려 버리는 파격을 일삼아 왔다. * 출처 : 「파타고니아, 파도가 칠 때는 서핑을」 (한국판) 추천의 글 ● Patagonia, Monte Fitz Roy 등반 : A Legendary Road Trip 피츠로이는 높이는 3,405m 이지만, 쉬나드 팀 이전에 단 2차례만 정상을 허락한 매우 험준한 산이다. If we have any hope of a thriving planet — much less a business — it is going to take all of us doing what we can with the resources we have. This is what we can do. " Earth is now our only shareholder " I never wanted to be a businessman. I started as a craftsman, making climbing gear for my friends and myself, then got into apparel. As we began to witness the extent of global warming and ecological destruction, and our own contribution to it, Patagonia committed to using our company to change the way business was done. If we could do the right thing while making enough to pay the bills, we could influence customers and other businesses, and maybe change the system along the way. We started with our products, using materials that caused less harm to the environment. We gave away 1% of sales each year. We became a certified B Corp and a California benefit corporation, writing our values into our corporate charter so they would be preserved. More recently, in 2018, we changed the company’s purpose to : We’re in business to save our home planet. While we’re doing our best to address the environmental crisis, it’s not enough. We needed to find a way to put more money into fighting the crisis while keeping the company’s values intact.
    • Business
    • 기업
    2024-05-03
  • [EV] 기아 EV9, ‘2024 레드 닷 어워드’ 최우수상
    현대자동차·기아·제네시스 브랜드는 ‘2024 레드 닷 어워드: 제품 디자인 부문(Red Dot Award: Product Design 2024)’에서 기아 EV9 최우수상 1개를 포함해 총 4개의 제품이 수상했다고 29일 밝혔다. 독일 노르트라인 베스트팔렌 디자인센터(Design Zentrum Nordrhein Westfalen)가 주관하는 레드 닷 어워드는 세계 3대 디자인상 중 하나로 매년 제품 디자인, 브랜드·커뮤니케이션 디자인, 디자인 콘셉트 부문에서 우수한 디자인을 선정한다. EV9은 제품 디자인 부문 중 ‘수송 디자인(Cars and Motorcycles)’ 분야에서 최우수상(best of the best)을 받았다. 지난 3월 독일 iF 디자인 어워드 금상을 받은 바 있는 EV9은 이번 수상으로 세계 3대 디자인상 가운데 2개를 휩쓰는 영예를 안았다. 특히 기아는 2022년 EV6에 이어 다시 한번 레드 닷 어워드 제품 디자인 부문에서 최우수상을 거머쥐는 쾌거도 기록했다. EV9은 지난해 출시 이후 우수한 상품성과 디자인으로 세계 올해의 자동차와 북미 올해의 차 등 글로벌 수상 세례를 이어가고 있다. EV9은 기아의 디자인 철학 ‘오퍼짓 유나이티드(Opposites United, 상반된 개념의 창의적 융합)’의 정수를 담은 모델로 미래지향적이고 고급스러운 디자인을 갖추고 있다. 기아는 EV9의 외관을 우아한 볼륨감과 전통 SUV의 웅장한 이미지가 조화롭게 이루어지도록 디자인했다. 인테리어에는 가죽 소재 사용을 단계적으로 줄이면서 옥수수·사탕수수 등 친환경 리사이클링 소재를 활용한 ‘10가지 필수 소재(10 Must Have Items)’를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
    • Business
    • 자동차
    2024-04-29
  • [태양광] 현대차그룹, 조지아주 EV 전용공장 태양광 PPA 체결
    현대자동차그룹이 미국 조지아주에 건설 중인 전기차 전용 공장을 재생에너지로 운영하기 위해 147MW(메가와트) 규모의 태양광 발전 전력구매계약을 체결했다. 현대차그룹은 스페인 재생에너지 개발업체 ‘매트릭스 리뉴어블스(Matrix Renewables)’가 주도하는 신규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와 15년(2025~2040년) 장기 전력구매계약(Power Purchase Agreement, 이하 PPA)을 최근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는 국내 기업이 미국 사업장의 재생에너지 사용을 위해 체결한 PPA 중 최대 규모다. 계약에는 미국 조지아주 전기차 신공장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이하 HMGMA)’를 비롯해 현지 동반 진출한 ‘현대모비스 북미전동화법인(MNAe)’과 ‘현대제철 조지아법인(HSGA)’, 인근에 있는 ‘현대트랜시스 조지아P/T법인(HTGP)’ 등 현대차그룹 4개 사가 공동으로 참여했다. 특히 이번 PPA는 기존 재생에너지 발전시설과의 공급계약이 아니라 현대차그룹의 대규모 발주와 연계된 신규 태양광 발전시설로부터 재생에너지를 조달하는 방식이어서 글로벌 탄소 감축 측면에서보다 긍정적이다. 향후 에너지 조달을 통해 기대되는 탄소 저감 효과는 연간 약 14만톤으로 추산되며, 준중형 세단 8만4000여 대가 1년간 배출하는 탄소를 흡수하는 것과 동일한 규모다. ※ 준중형 세단 탄소 배출량 112g/km, 자동차 연평균 주행거리 1만5000km, 미국 EPA 전력 배출계수(2024) 기준 현대차그룹이 재생에너지를 공급받게 될 태양광 프로젝트(프로젝트명 : Stillhouse Solar)는 매트릭스 리뉴어블스가 미국 텍사스주 벨 카운티에 2025년 10월 상업 운전을 목표로 개발 중인 210MW급 발전시설이다. 현대차그룹은 총 발전 용량 210MW의 70%인 147MW를 확보했으며, 매년 378GWh(기가와트시)에 이르는 재생에너지를 조달한다는 계획이다. 이는 국내 약 10만 가구가 1년간 사용할 수 있는 양이다. ※ 4인 가구 월평균 전력 사용량 307kWh 기준(2020년) 이번에 확보한 태양광 재생에너지는 전기차 전용 공장인 △HMGMA, HMGMA에 각각 전동화 부품과 전기차 강판을 공급하는 △현대모비스 북미전동화법인 △현대제철 조지아법인이 사용할 예정이며, 현대트랜시스의 경우 △조지아P/T법인과 함께 HMGMA에 시트를 공급하는 △조지아 시트공장도 활용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HMGMA는 완성차 공장 자체는 물론 공급망 차원에서도 재생에너지 사용체계를 구축하게 됐다. 이번 계약은 재생에너지 전력 확보를 위한 현대차그룹 차원의 본격적인 행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현대차그룹은 이번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와의 PPA를 시작으로 현대차그룹 미국 사업장의 재생에너지 전환을 위한 투자와 계약이 순차적으로 진행될 예정이며, 효과적인 재생에너지 확보를 위해 그룹사 간 협력을 지속해서 추진할 계획이다.
    • Business
    • 기업
    2024-04-22

Market 검색결과

  • [재생e] OECD 태양광 운용 넥스트파워 V ESG, 7.4억달러 달성
    태양광+인프라 부문에 특화된 글로벌 재생에너지 전문 운용사인 넥스트에너지 캐피탈(NextEnergy Capital, 이하 NEC)이 자사의 다섯 번째 전략인 넥스트파워 V ESG(‘NPV ESG’)의 2차 마감을 2억6500만 달러로 마무리했다고 발표했다. NPV ESG는 OECD에 초점을 맞춘 태양광 및 배터리 스토리지 전략으로, 20억달러 하드캡에 15억달러를 목표로 하며 현재까지 총 7억4500만달러의 약정을 확보했다. 새로운 자본에는 영국 LGPS 투자 풀, 네덜란드 연기금, 기존 넥스트파워 III ESG 투자자의 후속 펀드 투자(re-up)가 포함된다. 이 새로운 투자자들은 기존의 NPV ESG 투자자인 독일 직업연금기금 KLP 및 북유럽의 대형 연기금에 합류했다. NPV ESG는 계속해서 추가 자본을 유치할 계획이며, 현재 여러 투자자가 실사를 진행 중이다. NPV ESG의 투자 전략은 엄선된 OECD 시장의 태양광+ 인프라 부문을 타깃으로 하며, 각 목표 시장에서 중요한 포트폴리오를 구축하여 운영 실적을 쌓아 2033년 펀드 보유 기간 종료 시점에 포트폴리오를 매각하는 것이다. NPV ESG는 2007년부터 쌓은 NEC의 성공적인 실적을 활용하는데, 400건 이상의 유틸리티 규모 프로젝트 인수와 과거의 펀드를 통해 투자자에게 우수한 재무적 수익을 제공했다. 투자 한도에 도달하여 c.4GW를 공급할 때, NPV ESG는 연간 최대 110만 가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충분한 청정 에너지를 생산하고 연간 최대 천연가스 약 2억2000만㎥에 해당하는 화석 연료 소비를 방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NextEnergy Capital (“NEC”), a leading global renewables manager specialised on the solar+ infrastructure sector, is delighted to announce the conclusion of its second close of $265 million for its fifth strategy, NextPower V ESG (“NPV ESG”). NPV ESG is an OECD-focused solar and battery storage strategy targeting $1.5 billion with a $2 billion hard cap that has secured $745 million in total commitments to date. The new capital includes commitments from a UK LGPS investment pool, a Dutch pension fund, and another re-up from an existing NextPower III ESG investor. These new investors join existing NPV ESG investors KLP, a German occupational pension fund, and a large Nordic pension fund. NPV ESG will continue welcoming further capital, with several investors currently active in due diligence. NPV ESG’s investment strategy targets the solar+ infrastructure sector in carefully selected OECD markets, with the objective of building significant portfolios in each target market, establishing an operational track record and divesting the portfolio at the end of the fund’s holding period in 2033. NPV ESG leverages NEC’s successful track record since 2007, with over 400 utility-scale projects acquired and previous funds delivering superior financial returns to investors. Upon reaching its investment ceiling and delivering c.4GW, NPV ESG is forecasted to generate enough clean energy to power the equivalent of up to 1.1 million households per year and avoid an estimated fossil fuel consumption of up to nearly 220 million m3 of natural gas annually
    • Market
    • Finance
    2024-05-02
  • [금융] Toxic Bonds Network, 주요 은행들 한국전력 채권 발행 중단 촉구
    4월 24일, 독성채권네트워크(Toxic Bonds Network)는 씨티그룹, 뱅크오브아메리카(Bank of America), 미즈호, 스탠다드차타드 CEO들에게 서한을 보내 한국전력공사(KEPCO) - 석탄 사용 전력 40% 생산 -에 대한 신규 채권 발행을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독성 채권 네트워크(Toxic Bonds Network)는 지구 온난화를 1.5도로 제한하기 위해 수조 달러의 화석 연료 채권을 추적하고 중단을 추진하는 단체이다. 화석연료 의존도가 높은 한국전력은 연료비 상승으로 지난 3년간 총 365억 달러(50조원)의 손실을 기록했으며, 채권을 통한 자금조달 비중이 상당히 높다. 2023년 12월 기준 총 584억 달러(80조원)의 채권을 발행했다. 2019년부터 2024년까지 한전은 글로벌 녹색채권 발행을 두 배 이상 늘렸다. 기후솔루션(Solutions for Our Climate) 기후금융 담당자는 “화석연료에서 벗어나겠다는 구체적인 계획이 없다면 한전의 끊임없는 채권발행은 오래가지 못할 것입니다. 기후변화 대응을 빙자해 녹색채권을 발행했음에도 불구하고 한전과 발전자회사의 재생에너지 발전량은 여전히 2%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이번 서한은 한전 글로벌 녹색채권의 그린워싱 리스크를 강조하고 있다. 한전의 2023년 녹색채권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전 세계적으로 발행된 녹색채권 16억 달러 중 7억 8,340만 달러가 어떻게 지출되거나 배분되었는지에 대한 기록이 없다. 2023년 한전 발전 자회사는 국내 녹색채권을 통해 조달한 2억3370만달러(3200억원)를 화석가스 프로젝트에 사용했다는 비난을 받았다. 한전의 계속된 석탄 의존으로 인해 네덜란드 APG, 스웨덴 AP7 등 기관투자자들이 지분을 매각했다. 또한 BNP파리바는 한전의 석탄 정책을 따르지 못해 더 이상 한전의 개방형 펀드 포지션을 보유하지 않을 것으로 전해진다. 한전 채권을 인수하는 은행은 상당한 리스크에 직면해 있다. 한전을 계속 지원함으로써 은행은 지속 가능한 금융에 대한 약속에 어긋나고 잠재적인 법적, 재정적 결과에 노출된다. On April 24, the Toxic Bonds Network sent letters to the CEOs of Citigroup, Bank of America, Mizuho and Standard Chartered, calling on the banks to immediately stop facilitating any new bond issuance for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KEPCO), a South Korean state-run power utility that generates 40% of its electricity from coal. The Toxic Bonds Network helps track – and stop – the trillions of dollars of fossil fuel bonds that are financing the climate crisis to limit global warming to 1.5 degrees. KEPCO relies heavily on fossil fuels and has incurred a total loss of $36.5 billion (KRW 50 trillion) over the last three years amid rising fuel prices. The company depends on bonds as a significant source of revenue to maintain its coal business. As of December 2023, it issued a total of $58.4 billion (KRW 80 trillion) of bonds. Between 2019 and 2024, KEPCO more than doubled its global green bond issuance. “Without any concrete plans to transition away from fossil fuels, KEPCO’s relentless bond issuance will only last so long. Despite issuing green bonds under the guise of climate action, KEPCO and its generation subsidiaries still only generate 2 percent of its electricity from renewables.” – Evgeniya Lee, Climate Finance associate at Solutions for Our Climate The letter underscores the greenwashing risk of KEPCO’s global green bonds. According to KEPCO’s 2023 Green Bond Report, out of $1.6 billion of green bonds globally issued in 2022, there were no records of how $783.4 million was spent or allocated. In 2023, KEPCO’s generation subsidiary came under fire for using $233.7 million (KRW 320 billion) worth of domestic green bond revenue on fossil gas projects. “This lack of transparency prompted greenwashing complaints to be filed against KEPCO in Korea this March. The legal claim centered around exaggerated and deceptive advertising regarding its global green bond issuances. Financial institutions should carefully consider the potential legal implications and reputational risks associated with underwriting KEPCO’s green bonds. Supporting such bonds could inadvertently contribute to misleading practices and undermine the integrity of their own environmental and social policies and declarations.” – Gwanhaeng Lee, Senior Foreign Counsel at Solutions for Our Climate. As a result of KEPCO’s continued reliance on coal, major shareholders, including the Dutch APG and Sweden’s AP7, have divested from the utility. Additionally, BNP Paribas, a multinational bank, no longer holds any positions in KEPCO in open-end funds as it fails to meet the bank’s coal policy. Banks underwriting KEPCO’s bonds face significant risks. By continuing to support KEPCO, the banks contradict their own public commitments to sustainable practices and expose themselves to potential legal and financial consequences. Campaigners from Solutions from Our Climate stood outside the offices of Citi and Standard Chartered, urging the banks to stop financing KEPCO. The Toxic Bonds Network has requested a formal response from each bank by May 8.
    • World
    2024-04-29

이슈 검색결과

  • ['21.05.26] 헤이그 법원, 로열더치쉘 탄소배출 45% 감축 판결
    [선고일 : 2021년 5월 26일] 헤이그 법원은 원고인 '지구의벗'과 1만7천여 명의 공동 소송인단의 주장을 받아들여 로열더치쉘이 2030년까지 탄소배출을 2019년 대비 45% 감축할 것을 판결하였다. 로열더치쉘은 1988-2015 기간 중 전세계에서 9번째로 많은 탄소를 배출한 기업으로 분석된다. 온실가스 배출량의 83%가 석유, 가스, 석탄 등 전통 에너지 기업의 화석연료에 비롯되었다는 분석이 있다. 이번 판결은 법원이 민간기업의 파리협정에 따른 탄소배출 감축 의무 결정을 내린 중대한 사건으로 평가된다. 또한, 주요 탄소배출 기업들에게도 향후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소송의 이유는 네덜란드 민법과 EU조약의 '생명권과 가족권' 침해이다. < Royal Dutch Shell to cut carbon emissions by 45% > Oil giant told plans should be brought into line with Paris climate agreement A court in the Hague has ordered Royal Dutch Shell to cut its global carbon emissions by 45% by the end of 2030 compared with 2019 levels, in a landmark case brought by Friends of the Earth and over 17,000 co-plaintiffs. The oil giant’s sustainability policy was found to be insufficiently “concrete” by the Dutch court in an unprecedented ruling that will have wide implications for the energy industry and other polluting multinationals. The Anglo-Dutch company was told it had a duty of care and that the level of emission reductions of Shell and its suppliers and buyers should be brought into line with the Paris climate agreement. Shell had said in February it would accelerate the transition of its business to net-zero emissions, including targets to reduce the carbon intensity of energy products by 6-8% by 2023, 20% by 2030, 45% by 2035 and 100% by 2050. But lawyers for the plaintiffs successfully argued that the company had been aware for decades of the dangerous consequences of CO2 emissions and its targets remained insufficiently robust. It was claimed that Shell was breaching article 6:162 of the Dutch civil code and violating articles 2 and 8 of the European convention on human rights – the right to life and the right to family life – by causing a danger to others when alternative measures could be be taken. The court ruled that there were indeed obligations under both Dutch law and the convention and that the company had known for “a long time” about the damage of carbon emissions. While the company had not acted unlawfully, the court said it had established that there would be an “imminent violation of the reduction obligation”. It added that company’s “policy intentions and ambitions for the Shell group largely amount to rather intangible, undefined and non-binding plans for the long-term”. It found they were “dependent on the pace at which global society moves towards the climate goals of the Paris agreement”, allowing it to move more slowly, and that the “emissions reduction targets for 2030 are lacking completely”. Shell had argued that there was no legal basis for the case and that governments alone are responsible for meeting Paris targets. The court found that “since 2012 there has been broad international consensus about the need for non-state action, because states cannot tackle the climate issue on their own”.
    • World
    • 정책
    2024-04-23

동영상뉴스 검색결과

  • [배터리] eVLink-한국환경공단, 폐배터리 신속진단기술 성능평가
    이브이링크는 한국환경공단과 함께 미래폐자원 거점수거센터에 보관 중인 폐배터리에 대해 국내 최초로 SW검사방식이 적용된 신속진단기술 신뢰성 테스트를 진행했다. 전기차 배터리는 폐차 이후에도 재사용 및 재제조로 활용 가능하며, 관련 산업들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배터리 성능평가를 위한 기존의 물리적 진단 방식은 배터리 1대를 진단하는데 약 8~12시간이 소요되며, 진단 준비작업에도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이번 한국환경공단과 이브이링크의 신속진단기술 신뢰성 테스트는 소요 시간이 10분 이하에 불과해 앞으로 다량 발생될 전기차 폐배터리 시장에서 신속진단기술의 운영 기반을 마련하게 됐다. 대기환경보전법에는 2021년 1월 1일 이전 등록한 전기차의 배터리에 대해서는 폐차 이후 지자체 또는 한국환경공단이 운영하는 미래폐자원 거점수거센터에 반납하도록 규정돼 있다. 한국환경공단은 이렇게 반납된 폐배터리를 진단 및 성능평가해 공개 입찰을 통한 매각을 진행한다. 이브이링크에서 개발한 신속정밀진단기(CDS)는 사용 중 배터리 및 폐배터리의 평가에 있어 불필요한 시간을 줄이고, 고전압 안전을 회피할 수 있는 획기적인 제품이다. 또한 사용자 편의를 위해 블루투스 무선운영 방식을 적용하고 있으며, 성능평가에서 수집되는 배터리(BMS)의 모든 기초데이터를 서버에 저장해 사용 후 배터리 시장에서 필요한 정보를 모두 담고 있다. 주식회사 이브이링크는 전기차의 사용부터 폐기까지 수명주기 전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영역의 이벤트에 대응하는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는 회사로, 2021년 8월 설립됐다. 전기차 배터리 등 전기차 부품의 성능진단 및 진단결과의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고차 성능평가, 평가 데이터베이스 제공, 중고부품 재제조, 재사용, 산업 원료화를 위한 재활용을 사업모델로 하고 있다. 또한 전기차 리퍼비시 부품판매, 진단기술을 활용한 보험수리 서비스, 중고차 거래 등의 플랫폼 사업도 추진 중이다.
    • 탄소
    • 순환경제
    2024-05-19
  • [EV] 현대, 싱가포르 글로벌혁신센터 오픈
    현대자동차그룹이 싱가포르에 100년 기업을 향한 새로운 도전에 나선다. 현대자동차그룹은 싱가포르 서부 주롱 혁신지구(Jurong Innovation District)에 위치한 ‘현대차그룹 싱가포르 글로벌 혁신센터(Hyundai Motor Group Innovation Center Singapore : 이하 HMGICS)’를 오픈했다. 싱가포르 글로벌혁신센터는 인간 중심의 스마트 도심형 모빌리티 허브를 구축하고 내연기관 50년을 넘어 향후 전동화 시대 50년을 선도하기 위한 결정으로, 울산 EV 전용공장과 함께 현대차그룹 혁신의 두 축으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HMGICS는 현대차그룹이 △지능형, 자동화 제조 플랫폼 기반 ‘기술 혁신’ △다품종 유연 생산 시스템 중심 ‘제조 혁신’ △고객 경험 기반 판매 모델 구축 등 ‘비즈니스 혁신’을 바탕으로 인간 중심의 미래 모빌리티를 연구하고 실증하는 테스트베드다. 현대차그룹은 싱가포르의 우수한 기반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R&D, 제조, 비즈니스 등 3가지 분야의 혁신을 이룩하고 그룹의 지속 성장 동력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현대차그룹은 HMGICS에 △인공지능(AI), 로보틱스 등 첨단기술이 적용된 고도로 자동화된 셀(Cell) 기반 유연 생산 시스템 △현실과 가상을 동기화하는 디지털 트윈 기술 기반 효율적인 생산 운영 △데이터 기반 지능형 운영 시스템 △인간과 로봇이 조화를 이루는 인간 중심의 제조 공정 등을 통해 다양한 환경 변화와 고객 니즈에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했다. ◇ HMGICS, 모빌리티 생산의 새로운 시대를 열다 HMGICS가 위치한 주롱 혁신지구는 2016년 싱가포르 정부가 발표한 경제개혁 계획안에 따라 개발되고 있는 지역으로, 제조업 육성과 공정 전반을 디지털로 전환하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을 주도하는 첨단 산업단지로 거듭나고 있다. HMGICS는 주롱 혁신지구 내 약 4만4000㎡(1만3000평)의 부지에 총면적 약 9만㎡(2만7000평), 지하 2층, 지상 7층 규모로 건립됐다. HMGICS는 인공지능, 정보통신기술(ICT), 로보틱스 등 첨단기술을 융합한 인간 중심의 제조 시스템을 바탕으로 시장 변화 및 ‘셀(Cell)’ 시스템 생산방식으로 수요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다차종 소량 생산 시스템을 갖추었다 또한, 3차원 공간에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즉 메타 팩토리(Meta-Factory)를 구축해 실제 공정을 시범 가동하지 않고도 최적화된 가동률을 산정할 수 있게 되며, 물리적인 방문 없이도 제조와 물류 공정을 손쉽게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로봇과 사람의 유기적인 연결도 HMGICS의 특징이다. 디지털 트윈을 활용해 작업자가 가상의 공간에서 지시를 내리면 부품, 차체, 조립 등 각각의 공정에 배치된 로봇들이 최적의 타이밍과 경로를 계산해 업무를 수행한다. ◇ HMGICS, 고객 중심의 브랜드 경험을 재정의하다 HMGICS는 모빌리티의 주문부터 인도까지 이어지는 고객 중심의 플랫폼을 구축했다. 고객이 스마트폰 등을 통해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트림, 색상, 옵션 등 사양을 적용해 차량을 주문하면 HMGICS는 고객의 주문에 따라 차량을 생산한다. 제조가 완료된 차량은 건물 옥상에 위치한 길이 620m의 스카이트랙으로 옮겨져 주행 테스트를 진행하게 된다. 고객들도 스카이트랙에서 시승을 경험할 수 있다. HMGICS는 건물 일부에 투명 유리를 적용해 차량 인도를 위해 방문하는 고객들이 바깥에서도 전시 공간을 들여다볼 수 있도록 했다. 건물 3층 고객 경험 공간에서는 고객들이 VR 투어를 통해 가상 공간에서 차량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체험해 볼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투어 후 자동차가 생산되는 실제 스마트 팩토리의 모습을 직접 볼 수 있도록 했다. HMGICS 1층과 3층에는 로보틱스 등의 첨단기술을 활용한 미래형 농장 ‘스마트 팜(Smart Farm)’을 설치했다. 싱가포르는 농토의 비율이 1%에 불과해 식량의 90%의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정부는 2030년까지 자국 내 식량 생산 비율을 30%까지 높이기 위해 ‘30 By 30’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스마트 팜을 통해 싱가포르의 식량 이슈를 해결할 수 있는 솔루션을 기여한다는 목표다. ◇ HMGICS, 싱가포르와 동반 성장을 이끌다 현대차그룹은 지속가능한 모빌리티 제조 기술 및 생산 솔루션을 개발하기 위해 기업 연구소(Corporate Lab) 프로그램 등을 통해 현지 생태계와 긴밀한 협업 관계를 구축한다. HMGICS는 난양이공대학(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NTU) 및 싱가포르 통상산업부 산하 기술개발연구소인 과학기술청(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A*star)과 기술개발 생태계 구축 MOU를 체결하고 싱가포르 최초로 대학, 정부, 기업이 합작한 연구소를 설립한다. 합작 연구소에서는 싱가포르의 우수 인재를 활용해 인공지능, 로보틱스, 메타버스 등 차세대 자율 생산 운영 체제에 대해 연구할 예정이다. 싱가포르 경제인 연합회(Singapore Business Federation, SBF), 싱가포르 제조업 연합회(Singapore Manufacturing Federatiobn, SMF)와 지속가능하고 차별화된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를 만들어가는데 적극 나설 계획이다. 한편 현대차는 싱가포르 물류기업 PTCL(Poh Tiong Choon Logistics)과 ‘수소모빌리티 생태계 구축 협력 MOU’를 체결하고 싱가포르 수소모빌리티 생태계 구축 및 발전에 공동 협력하기로 했다. MOU를 통해 현대차는 싱가포르 수소 생태계 관련 사업 기회를 발굴하고 협업체계를 구축하는 한편, PTCL은 수소 사업 관련 현지 코디네이터로서 현대차의 참여를 지원하고 사업 기회를 공동 모색하는 등 싱가포르의 에너지 전환에 힘을 모을 계획이다.
    • Business
    • 기업
    2024-05-10
  • [ESG] Ptagonia, 'Earth is now our only shareholder'
    전설적인 등반가, 서퍼, 환경운동가이자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둔 세계적 아웃도어 브랜드 파타고니아의 설립자 이본 쉬나드(Yvon Chouinard)가 전 재산을 지구에 기부 한다. 비상장 기업인 회사의 의결권 주식 100%는 비영리재단 Patagonia Purpose Trust, 무의결권 주식 100%는 환경단체 Holdfast Collective에 각각 출연하였다. 쉬나드 일가 소유 지분 가치는 약 30억달러(약 4.2조원)인 것으로 알려진다. 지구가 유일한 주주가 되어 향후 기업의 모든 이익이 지구의 기후변화 대응과 환경보호에 환원 및 사용 되도록 한 것이다. 등반가, 모험가 이본 쉬나드 이본 쉬나드는 전설적인 등반가이자 등산장비를 손수 제작했던 대장장이였다. 그는 주한미군으로 복무하던 시절 북한산을 오르며 암벽 등반 루트를 개척하기도 했다. 그리고 캘리포니아에서 아리헨티나 남쪽 파타고니아 지역까지 친구들과 험준하기로 유명한 피츠로이 등반을 위해 스키, 서핑을 하며 로드 여행을 했다. ● 북한산 인수봉 암벽등반 루트 개척 ※ 1960년대 당시 Chouinard (이본 쉬나드는 프랑스계 캐나다 태생)라는 이름이 영어식으로 발음된 것으로 보임 등반가 쉬나드는 주한미군으로 복무(1963년~1965년) 중에 한국의 등반가인 선우중옥과 함께 북한산 인수봉에 새로운 바윗길(암벽등반) 2개 (쉬나드A, 쉬나드B)를 개척하였다. 우리의 기억속에 그는 '늘 새로운 길을 열어 가는' 산악인이었다. 그는 스스로 대장장이가 되어 세상에 없던 등반 장비를 만들어 냈고, 요세미티 거벽등반(Big Wall Climbing)의 황금시대를 개척한 이들 중의 하나였으며, 히말라야의 미답봉들을 두루 섭렵한 다음에는 초등을 증명할 등반 개념도 따위를 모두 찍어 허공에 날려 버리는 파격을 일삼아 왔다. * 출처 : 「파타고니아, 파도가 칠 때는 서핑을」 (한국판) 추천의 글 ● Patagonia, Monte Fitz Roy 등반 : A Legendary Road Trip 피츠로이는 높이는 3,405m 이지만, 쉬나드 팀 이전에 단 2차례만 정상을 허락한 매우 험준한 산이다. If we have any hope of a thriving planet — much less a business — it is going to take all of us doing what we can with the resources we have. This is what we can do. " Earth is now our only shareholder " I never wanted to be a businessman. I started as a craftsman, making climbing gear for my friends and myself, then got into apparel. As we began to witness the extent of global warming and ecological destruction, and our own contribution to it, Patagonia committed to using our company to change the way business was done. If we could do the right thing while making enough to pay the bills, we could influence customers and other businesses, and maybe change the system along the way. We started with our products, using materials that caused less harm to the environment. We gave away 1% of sales each year. We became a certified B Corp and a California benefit corporation, writing our values into our corporate charter so they would be preserved. More recently, in 2018, we changed the company’s purpose to : We’re in business to save our home planet. While we’re doing our best to address the environmental crisis, it’s not enough. We needed to find a way to put more money into fighting the crisis while keeping the company’s values intact.
    • Business
    • 기업
    2024-05-03
비밀번호 :